시민단체 "의혹투성 '제2롯데월드' 철저한 검증 필요"

재벌 이익 위해 시민 안전과 편의 담보한 '서울시' 규탄

2014-10-02     양길모 기자

참여연대, 송파시민연대 등 17개 시민사회단체들은 2일 서울시의 제2롯데월드 임시개장 조건부 승인 결정에 대해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시의 제2롯데월드 임시사용 승인은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송두리째 담보로 내던진 것"이라며 "서울시는 결국 프리오픈과 같은 방식으로 시민들을 기만해 왔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지난 열흘간의 프리오픈은 당초 서울시가 밝힌 '안전 점검' 취지와 달리 롯데 측이 짜놓은 '관광코스'에 불과했고, 안전점검 일정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서울시가 이미 한 달 전 사실상 '임시사용 승인' 결론을 내리고도 여론의 눈치를 살피며 시민들에게 검증의 책임을 떠넘겼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까닭"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잠실역 일대 교통대란은 지금도 극심한데 이미 진행 중인 교통대란에 대해 서울시와 롯데 측이 제시한 대책들 중 무엇 하나 착수됐거나 대책들로 충분한 것이 없다"며 "제2롯데월드 부지의 지반 상태가 '매우 불량'하다는 내용이 담긴 국토부의 1997년 지질조사보고서가 최근 공개되면서 이 또한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2롯데월드 사업인허가의 책임을 져야 할 정부도 제2롯데월드 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온갖 규제들을 대거 풀어주며, 지상 555m짜리 제2롯데월드 사업의 발판을 만들어 줬다"며 "서울시와 정부는 당시 관련 자료들을 낱낱이 공개하고, 국회와 서울시의회는 지금이라도 철저히 검증에 나서야 한다"고 꼬집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우리 모두는 노후 선박 규제 완화가 부른 세월호 참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제2롯데월드 개장을 통한 특정 재벌대기업의 이익보다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가 최우선으로 판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