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기사 폭행' 세월호 유가족들 대질조사 中…경찰 수사 '분수령'

'7부 능선' 넘긴 경찰…진실공방 어떻게 매듭질지 관건

2014-09-25     박성환 기자

세월호 일부 유가족들이 대리운전 기사와 행인을 집단 폭행한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가 최대 분수령을 맞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25일 1시부터 김병권 전 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 위원장과 김형기 전 수석부위원장 등 유가족 4명을 대상으로 대질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건 당시 신고자와 행인 2명 등 총 3명이 경찰에 출석하면서 본격적인 대질조사가 시작됐다. 유가족 4명과 이들은 1대 1로 대질심문을 벌이고 있는 만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은 김 전 위원장을 제외한 3명이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만큼 대질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건 경위와 쌍방 폭행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사건 발생 당시 피해자격인 대리 기사와 행인만 조사하고, 유가족과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귀가시켜 '봐주기 수사' 의혹으로 한 차례 곤욕을 치른 경찰은 이후 '속전속결'로 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경찰은 추가 목격자를 확보하고, 현장이 담긴 블랙박스 영상 복원작업을 벌이는 수사 초기와는 사뭇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다.

양측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이번 대질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건 경위와 유가족 혐의를 어떻게 입증하느냐에 따라 수사의 성패가 좌우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번 폭행 사건과 관련해 '폭행 현장을 보지 못했다'며 자신과 연관이 없다고 선을 긋고 있는 김 의원에 대한 수사 결과 역시 주요 변수다.

김 의원은 당초 출석 예정일보다 하루 먼저인 지난 23일 경찰에 출석해 '세월호 유가족이 대리기사를 폭행하는 장면을 보지 못했고, 반말한 적도 없다'며 수사에 찬물을 끼얹졌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이 김 의원에 대해 제기된 각종 의혹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어물쩍 넘어갈 경우 자칫 경찰 수뇌부에 대한 책임론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경찰의 고민이 날로 깊어지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확보한 10명의 목격자들이 대리운전 기사가 일방적으로 폭행을 당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하고 있다"며 "범죄사실이 드러난 부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대질조사를 벌이는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이다.

유가족과 목격자 간의 대질조사를 통해 이번 사건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대질 조사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경찰이 수사에 방점을 찍을 수 있을 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