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진론' 벼랑끝 몰린 박영선, 탈당카드로 배수진치나?

2014-09-15     배민욱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4일 원내대표직 사퇴뿐만 아니라 탈당까지 시사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위원장은 두 차례의 세월호특별법 합의안이 유가족과 당내 반발로 거부당했고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추진하는 것을 두고도 거센 반발로 무산되면서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몰린 상황이다.

급기야 14일 당내로부터 공개적으로 퇴진압박을 받고 있어 박 위원장의 정치적 내상은 깊어만 가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다시 원내대표 선거를 치르는 것이 물리적으로 어렵고 박 위원장 대신 새 사람이 온다고 해서 새 길이 뚫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지만 박 위원장이 원내대표직도 내려놓아야 한다는 의견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런 분위기가 강해지자 그대로 당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재 처지에 대해 실망감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5일 예정된 원내대책회의 일정이 갑작스레 취소되는 등 박 위원장이 거취에 대한 중대결단을 내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공식 일정이 없었던 박 위원장은 오후 8시50분께 서울 연희동 자택에 도착했다. 하지만 탈당 여부와 관련해선 아무런 견해를 밝히지 않았다.

박 위원장을 태운 차량은 대기하던 취재진을 피하려고 좁은 골목길을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담벼락에 들이받는 가벼운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박 위원장의 '탈당설'이 나오자 당은 당혹감 속에서도 진위파악에 주력했다. 지도부는 물론 그룹별로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급박하게 움직였다.

그러나 박 위원장이 실제로 탈당을 실행에 옮길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정치권에서는 박 위원장이 '탈당카드'라는 승부수를 통해 자신에 대한 사퇴 압박을 잠재우기 위한 벼랑 끝 전술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박 위원장이 당직에서 물러날 경우 당내 선출직이 아무도 없다는 점에서 당은 더 큰 혼란으로 빠질 수 있고 개인의 정치적인 치명상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7·30 재보궐선거 참패로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지도부의 공백으로 당이 심각한 소용돌이 속에 빠질 것으로 보여 그 책임론을 고스란히 박 위원장이 감수해야 하는 부담감도 있다.

세월호특별법 등으로 인한 정국파행을 정상화시키지 못한 상황에서 제1야당의 대표가 당내 반발에 못 이겨 탈당까지 할 경우 박 위원장 본인은 물론 당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불 보듯 뻔 하다는 것도 이유다.

지난 12일 5인의 중진회동을 통해 거취 논란 봉합에 성공하는 듯했으나 비대위원장에 이은 '원내대표 사퇴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박 위원장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넘어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