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투쟁노선' 놓고 중도온건·진보강경파 공방 거듭

2014-08-29     박대로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안에서 세월호특별법 국면 대응방식을 둘러싸고 중도온건 성향 의원들과 진보강경 성향 의원들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중도온건파는 장외투쟁을 중단하고 국회로 돌아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진보강경파는 세월호 유가족을 위해 좀더 강경한 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도성향인 김영환 의원은 29일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 인터뷰에서 "국회를 버리는 것은 아주 바보 같은 짓"이라며 "새로운 야당을 건설하기 위해선 장외투쟁을 하지 말아야 된다, 절제해야 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회의원이 국회를 지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더 강경한 투쟁은 없다"며 "과거에 해 왔던 식의 장외투쟁, 농성, 단식, 삭발 등 투쟁 방식은 국민의 동의를 얻기가 어렵다. 민주, 반민주 시대가 지난 후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입법을 통해 여당을 견제하고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이야말로 가장 합당하고 온당한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월호)특별법이 가장 중요한 민생 법안이기 때문에 특별법이 통과되지 않으면 민생 법안, 또는 국회는 정상화시킬 수 없다는 논리는 잘못된 논리"라며 "오히려 민생법안을 볼모로 한다는 것 때문에 특별법의 협상력이 약화되는 상황이다. 협상 전술로 볼 때도 특별법과 민생 법안이 연계되지 않아야 된다"고 견해를 밝혔다.

반면 진보강경 성향 의원들은 더 강하게 투쟁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원식 의원은 트위터에서 "진상규명을 위한 세월호특별법에 대한 새정치민주연합의 주장을 세워야 한다. '유가족이 동의하는 세월호 특별법 제정'은 유족이 협상하는 유가족을 고립시키게 된다"며 "기소권을 주장해야 한다. 조금 힘들더라도 이게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또 "새정치연합이 협상주체였을 경우는 가족의 동의가 중요했지만 협상의 주체가 가족들인 상태에서도 세월호 특별법에 대해 유족의 뜻에 따른다고 하는 것은 어렵게 새누리와 협상하고 있는 유족을 고립시키는 것과 같은 결과"라고 말했다.

원내대변인인 유은혜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 인터뷰에서 "장내다, 장외다 이렇게 기계적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구분"이라며 "이것(세월호특별법)에 대해 결단하고 합의하지 않고 미루면서 마치 뭔가 될 것처럼 해놓고 우리에게 밖에 나가서 싸우지 말고 국회에 돌아와서 정상화하자고 얘기하는 것은 진정성이 없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