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유가족 잇따라 면담…세월호 정국 묘수 찾나?

2014-08-27     이국현 기자

여야가 27일 세월호 유가족들과 잇따라 만나면서 경색된 세월호 정국을 돌파하기 위한 묘수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지난 25일에 이어 이날 오후 국회에서 세월호 유가족들과 만나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키로 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혁신공감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유가족들과 만나 세월호 정국 해소에 대한 접점 모색에 나선다.

야당이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촉구하면서 국회 예결위원회장을 '베이스캠프' 삼아 원내·외 투쟁에 돌입하고, 새누리당은 민생법안 처리의 시급성을 들어 야당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이날 연쇄 면담이 정국 파행의 장기화 여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사상 첫 분리 국정감사 무산에 이어 2013 회계연도 결산 및 내년도 예산안 처리 지연, 내년도 예산안 졸속 심사가 우려되고 있는데다 9월 정기국회까지 파행을 빚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모두 정국 돌파구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오늘 만남도 유가족 입장을 충분히 경청하면서 새누리당 입장도 허심탄회하게 말씀드리는 진솔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제 좀 더 가까이 다가가서 마음의 문을 열고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정치권 안팎에서는 새누리당이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의 여당 몫 추천권을 양보하는 방식으로 중재안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다만 새누리당은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문제에 대해선 '법과 원칙'에 따라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실제 새누리당은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유가족들을 최대한 존중하고 의견을 경청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유가족과의 대화는 '협상 대상'으로서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재확인하면서 당장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

새정치연합은 이틀째 원내외 병행 투쟁을 이어가면서 대여(對與)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의원총회를 한 뒤 광화문 광장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향해 유가족의 뜻에 따른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진행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새누리당은 더 이상 계산하지 말고 즉각 3자협의체에 참여해야 한다"며 "오늘 오후 유가족과 새누리당, 새정치민주연합의 연쇄 회담이 있다. 만약 새누리당이 국민을 생각하는 집권여당이라면 이번 주 안에 세월호특별법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당 일각에서는 세월호 특별법 협상을 타결짓기 위한 의견들도 제시되고 있다. 이석현 국회 부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특별검사 자체를 유족과 야당이 먼저 다수를 천거하고, 그 중에서 2명을 여당이 선택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의하기도 했다.

한편 여야 모두 지도부가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당내에서 지도부 입장과 다른 견해들이 나오고 있는 점은 세월호 정국의 변수가 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5월19일 대국민담화문에서 '사고의 최종 책임은 대통령인 제게 있다. 살릴 수 있던 학생들을 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유가족을 못 만날 이유가 없다"고 제안했다.

새정치연합 내 중도 성향의 의원들 역시 당 지도부의 원내외 병행 투쟁 기조에 대해서 반기를 들었다. 김영환·변재일·황주홍 의원 등 비주류 의원 15명은 전날 '국회 밖으로 나가선 안 됩니다'라는 장외 투쟁 반대 성명서를 냈다.

김영환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강지원의 정면승부' 인터뷰에서 "국회의원들은 국회에서 활동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들"이라며 "재야나 시민단체들은 당연히 장외로 나가서 할 수 있지만 국회의원들이 장외로 나가는 것은 합당하지도 않고 온당하지도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