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해수욕장 사망사고 축소' 의혹
해경이 올 여름 발생한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의 허점을 감추려는 시도를 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강원 동해해양경찰서는 지난 13일 "올 여름 해변 개장(7월11일) 이후 물놀이 사망사고 없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관할 지역(강릉·동해·삼척·울릉) 해변에서 개장 후 단 한 건의 물놀이 사망사고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주요 해수욕장 16곳에 해양경찰구조센터가 운영 중이며 153명의 안전관리요원이 피서객의 물놀이 사고 예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자체 안전요원만 배치된 소규모 해수욕장에는 취약시간대를 중심으로 집중 순찰이 이뤄지고 있으며 휴일에는 순찰 인력을 늘려 피서객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빼놓지 않았다.
보도자료는 피서객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는 해경의 활동을 홍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동해해경은 강릉시 경포해변에 여름해양경찰서를 설치하고 지난달 1일부터 물놀이 안전사고를 비롯한 해변 치안 업무에 돌입했다.
사고 당일 경포해변에는 해경이 근접 배치됐지만 사고가 발생한 두 곳에는 해경 안전관리요원이 단 한 명도 배치되지 않았다. 결국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치면서 사망사고 예방에 허점을 드러냈다.
그런데도 해경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식 개장일(7월11일)을 기준으로 보도자료가 발표된 지난 13일까지 단 한 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발생한 사망사고 사례를 드러내지 않으면서까지 해경의 안전사고 예방 활동을 홍보하는 태도가 지나쳤다는 지적이 이 때문에 나온다.
해경의 사고 축소는 이뿐만이 아닌 것으로 뉴시스 취재결과 드러났다.
지난달 27일 강릉시 사천면 사천해변 앞바다에서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던 이모(52·서울시)씨가 되레 사고를 당했다.
앞서 같은 달 17일 경북 울릉군(울릉도·동해해경관할)에서도 바다에 빠진 최모(9)군이 동해지방해양경찰청 항공대 헬기로 긴급 이송돼 병원에 도착했지만 사고 발생 33일째가 된 18일까지 의식이 없어 부모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해양분야의 한 관계자는 "세월호 사건으로 실추된 해양경찰의 수난 구조 실무의 무능함을 감추려는 목적에서 물놀이 사망사고 건수를 의도적으로 축소했다는 의혹을 살만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동해해경 관계자는 "7월1일부터 안전관리 업무를 시작한 것은 맞다. (보도자료의 사망사고 건수는) 개장 이후로 잡은 것"이라며 "피서객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계도 차원과 남은 기간에도 최선을 다해 안전관리 업무를 하겠다(는 뜻이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사망사고 건수의 의도적 축소 의혹'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