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늘어나도 '고용의 질(質)'은 악화
계약 기간 1년 미만의 임시직 크게 늘어
하반기 들어 고용 상황이 개선되는 추세지만 고용의 질(質)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우려된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0만5000명(2.0%) 증가한 2597만9000명을 기록했다. 취업자수 증가 폭이 2월 이후 계속 축소되다가 5개월 만에 처음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고용의 질은 오히려 나빠지는 모습이다.
7월 상용근로자는 1216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만1000명(2.97%) 증가했지만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직 근로자는 23만5000명(4.7%)이나 증가했다.
올해만 놓고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7월 들어 상용 근로자는 6월보다 4만7000명 감소한 반면 임시직 근로자는 16만1000명이나 늘었다.
임시직 근로자 수는 올해 초 475만7000명에서 521만9000명으로 9.1%나 증가했다. 반면 상용 근로자는 같은 기간 1.78% 늘어나는데 그쳤다.
또 고용 증가가 50대와 60대에 집중된 반면 청년 실업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7월중 50대와 60대 취업자는 각각 20만3000명, 17만9000명 증가한 데 반해 20대와 30대는 8만4000명, 1만6000명씩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15~29세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2.7%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실업자 수는 무려 11.3%나 늘었다.
정부가 시간제 일자리 등을 통해 그저 고용을 늘리는 데 치중한 나머지 이런 현상이 빚어진 것으로 지적된다.
최재혁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회 간사는 "정부가 '고용률 70%'라는 목표를 세워두고 숫자를 채우는 데 급급하다 보니 일자리의 질이 개선되지 못하는 것"이라며 "상용직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고 임시·일용직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그저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것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고용부 관계자는 "(최근 임시·일용직이 늘어난 것은) 꼭 시간제 일자리 정책의 영향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며 "세월호 사고로 줄었던 취업자 수가 늘어난 부분도 있고 여름 휴가철에 맞춰 도·소매업이나 음식·숙박업 일자리가 일시적으로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