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野청문위원 사찰논란, 검증불구 의혹지속
7일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내정자 국회 인사청문회 중 불거진 야당의원 사찰논란이 국회 차원의 검증에도 불구하고 수그러들지 않았다.
국회 정보위원회 남원희 입법심의관은 이날 오후 속개된 이 내정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사찰 논란 관련 영상과 사진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남 심의관은 "의사진행발언 시 국회의원과 질의서 등을 촬영했는지 여부를 국회 정보위 소회의실에서 오전 11시30분부터 오후 1시까지 조사했다"며 "카메라는 육안으로 확인했고 ENG카메라는 영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1번과 2번 카메라는 특이사항이 없었고 ENG카메라도 특이사항이 없었다"며 "전체 영상 촬영 분량은 21분이고 화면전환은 2번이었다"고 설명했다.
남 심의관은 '카메라 앵글이 왜 내려와 있었냐'는 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의 질문에 "촬영자가 국정원장 후보자와 핀트를 맞출 때 조정을 하면서 그랬다고 들었다"고 답했다.
이에 방송기자 출신인 신 의원은 "납득이 안 된다. 내가 아는 카메라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며 "이는 인사청문회장에서 일어난 야당정보위원에 대한 사찰이고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다. 들어오면 안 되는 사람이 들어와 이상한 짓을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이어 "기술적인 검증을 해야 한다. 은폐조작 냄새가 난다"며 "적당히 넘어가면 사찰문제와 은폐문제를 두고 넘어가는 나쁜 선례가 된다. 기술적 검증을 객관적인 차원에서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같은당 박지원 의원도 "나도 정보위원을 5년째하고 국정원장 인사청문회도 해봤지만 언론이 아닌데 국회사무처를 통해 야당의원 자료를 촬영하는 일은 없었다"며 "새누리당은 이를 알았는지 모르지만 우리는 몰랐다.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정원을 옹호했다.
이철우 의원은 "이는 이번에만 있는 일이 아니고 국정원장 청문회마다 요청사항이고 국회도 허가했다. 다른 장관도 마찬가지"라며 "오해가 없도록 전문가를 모셔서 명명백백히 밝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같은당 권성동 의원도 "국정원직원의 촬영부분은 국회 승인을 얻어서 한 부분이다. 촬영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며 "누구나 사진촬영을 할 수 있다. 여당 의원들도 다 찍고 있다. 단정적으로 주장해 위원회를 파행으로 끌고 간 것은 분명히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 공방이 이어지자 새누리당 소속인 김광림 정보위원장은 "여야간사간에 합의해 기술적인 확인을 다시 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