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대도약 위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 필요"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과거 경공업 중심의 수입대체형 전략을 제조업 1.0이라 하고, 조립·장치산업 위주의 추격형 전략이 제조업 2.0 전략이었다면 이제는 융합형 신제조업을 향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전국상공회의소 회장단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제조업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업의 동반 발전이 중요할 텐데, 특히 우리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제조업 혁신 3.0은 먼저 제조업과 IT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산업혁명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최초의 산업혁명은 영국이, 정보화혁명은 미국이 선도했지만 스마트 산업혁명은 우리가 충분히 주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중견기업의 제조공장을 IT 융합형 스마트 공장으로 탈바꿈시키면 제조 현장의 고령화와 생산성 저하를 극복하고, 사물 인터넷 등 관련 산업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며 "제조업과 다른 산업의 융합을 통한 신산업 창출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20세기에 만든 법과 제도로 21세기 융합형 신산업을 재단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앞으로 정부는 새로운 기술 트렌드에 맞춰서 낡은 법, 제도를 과감히 정비할 것"이라며 스마트 산업혁명을 위한 규제개혁도 약속했다.
또 "제조업 혁신 3.0은 제조지원 서비스업과 소재산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엔지니어링과 디자인, 소프트웨어 등 제조업을 뒷받침하는 지원 서비스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플의 아이폰은 중국에서 조립되지만 많은 부가가치가 미국으로 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완제품과 부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소재산업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제조업 혁신 3.0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입지, R&D(연구개발) 등 제조업 혁신 기반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며 "스위스와 같이 산업계가 주도하는 직업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민관이 협력해서 공과대학을 융합형 인재의 산실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제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더 적극적인 해외진출 노력을 통해 우리 제조업의 지평을 넓혀주기 바란다"며 "저도 정상외교를 통해 여러분들의 노력을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중앙아시아 순방 당시 일화를 소개하면서 투르크메니스탄의 명마(名馬) '아할테케'를 언급하기도 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어 "해외에 나가보면 우리 기업인들을 칭찬하는 말을 듣는 것도 지금껏 고생한 덕분"이라며 "그만큼 우리가 저력을 갖고 있다고 믿으면 된다"고 강조했다.
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나 규제혁신은 중앙정부의 노력이나 힘만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며 "지자체가 협조해야 하고 특히 지역 상공인, 기업인 여러분들이 적극 참여해 주셔야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 후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브리핑에서 "이제 본격적인 내수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공감대가 형성했다"며 "정부로 하여금 강도 높은 경제활성화 대책을 마련하라는 주문도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간담회 참석자 가운데 정구용 시흥상공회의소 회장은 "경기도 지역의 경우 세월호 사고 이후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내수가 많이 위축됐다"며 "민생대책으로 사정이 다소 나아지긴 했지만 내수 체감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좀 더 과감한 정책을 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충경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방기업도 창조경제와 제조업 혁신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지방에서는 고급 R&D 인력을 구하는게 어렵다"면서 지방근무 연구인력에 대한 제도적 지원 강화를 건의했다.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국회차원에서 가업상속 문제를 포함해 기업의 애로를 입법,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한 전국상공회의소 회장단 100여명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추경호 기획재정부·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