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중투표에 2년전 투표용지까지…선거관리 곳곳 잡음
제6회 지방선거 도중 이중투표 사례가 발생하고 2년전 대통령선거 당시의 투표 용지가 발견되는 등 선거관리과정에서 전국 곳곳에서 잡음이 일었다.
5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서울 동대문구 전농제2동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달 30일 오후 3시께 동대문구 장안2동 사전투표소에서 관외 사전투표를 하고도 선거일인 지난 4일 전농제2동 제4투표소에서 다시 투표를 했다.
이에 동대문구선관위는 A씨가 투표한 관외 사전투표지 7장을 모두 무효처리하고 선거일 투표만 유효로 처리했다. 아울러 서울시선관위는 A씨를 고발키로 했다.
이 밖에 도봉구에서는 본인이 아닌 다른사람이 사전투표를 하고 갔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B씨는 도봉구 쌍문4동 제1투표소에 투표하러 갔지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지난달 31일 오후 5시께 광명시 광명7동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한 것으로 기록돼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선관위는 사실관계 등 위법여부를 수사의뢰키로 했다.
경기 의정부에선 동명이인을 착각해 사전투표과정에서 착오를 겪는 일도 발생했다.
의정부시선관위에 따르면 1990년생인 C씨는 지난 4일 오전 7시께 의정부시 녹양초에서 투표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중투표라는 의혹이 일었다.
같은 사람이 이미 사전투표를 했다는 게 담당투표사무원의 지적이었다. 그러나 이는 동명이인을 착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동명이인인 선거인 1976년생 D씨가 지난달 31일 의정부시 가능3동 사전투표소에서 관외사전투표를 했는데 4일 녹양초에 있던 투표사무원이 C씨와 D씨를 혼동한 것이었다. 결국 선관위는 "선거인 C씨와 D씨의 투표는 정상적인 투표"란 해석을 내놨다.
이 밖에 경북 울주군개표소에서는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당시의 투표지 1매가 발견돼 파장이 일었다.
자초지종을 알아본 선관위는 보도자료에서 "울주군개표소에서 확인된 제18대 대통령선거 투표지는 당시 투표용지를 수령한 울주군 삼동면 제1투표구의 신원미상의 선거인이 기표 후 투표함에 투입하지 않고 보관해오다 이번 지방선거의 울주군 범서읍 제5투표소에서 투표함에 투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그 당시 투표관리관이 (해당 투표용지를)대선 당시에 울주군 삼동면 제1투표구투표관리관으로서 교부했다고 구두로 인정했다"며 "또 개표상황표를 확인한 결과 투표용지 교부수 742매, 투표수 741매로 투표지가 1매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투표개시전에 투표관리관과 투표참관인이 투표함 내·외부에 이상없음을 확인하고 봉인 후 완전히 빈 투표함 상태에서 투표를 실시했다"며 대선 투표용지가 투표함에 들어가 있었다는 의혹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