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경전철 개통 지연 '5천억 세금 폭탄...'

1300억 투입해 주민센터 신축계획 추진 '빈축'

2011-10-18     김지원 기자

경기 용인시가 경전철 개통 지연으로 5000억원에 달하는 최소해지시 지급금을 용인경전철㈜에 물어줘야 할 처지에서도, 신갈동주민센터 등 맞춤형 청사 신축에 130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을 세워 빈축을 사고 있다.

16일 시에 따르면 신갈동, 동백동주민센터 등 2014년까지 총 9개에 달하는 동 주민센터 청사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463억원, 2012년 342억원, 2013년 399억원, 2014년 95억원 등 총 13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신갈동주민센터는 올해 12월 착공해 2013년 12월 준공예정이며 기흥동 2012년 6월 착공, 마북동 2012년 3월 착공 등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주민센터 신축 계획 추진은 기흥구, 수지구, 처인구 등 3개구청이 동시에 개청, 시가 갑자기 늘어나는 주민센터 청사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는 이에 따라 기흥구 영덕동 주민센터가 영덕동 미래로 프라자 건물을 임대해 사용하는 등 주민센터 청사가 없어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영덕동 주민센터 등 청사가 없어 건물을 임대해 사용하는 주민센터들의 1년 임차료가 5억5000만원에 달하고, 시민들에게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고 항변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경전철 최소해지시 지급금 등으로 인해 재정이 어려워 내년도 예산편성 시 긴축재정을 펼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시는 주민센터 신축 계획에 대해 전면취소보다는 주민 불편을 감안해 사업량을 조절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경전철로 5000억원의 혈세를 물어줘야하는 상황에서 또다시 1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9개에 달하는 주민센터를 신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백암면에 사는 이모(38·회사원)씨는 “최근 일부 시민들은 경전철 개통을 지연해 5000억원을 물어줘야 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시의 각종 주요사업의 추진여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재정압박 타개를 위한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데 시가 주민센터 신축에 따른 전시행정에 치중하고 있는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도 “일부에서는 시가 성남시처럼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하다”며 “재정운용 방안을 제시해 시민들의 불안을 불식시키는 것이 우선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다수 시민들은 시가 시민들의 우려와는 달리 여전히 전시행정에 치중하고 있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는 반응을 보이며, 재정압박 사항을 어떻게 해결할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