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0→010' 불법중계소 운영, 350억 피싱 사기 일당 무더기 검거
해외발신 번호 변작해 피싱 사기에 이용 해외 총책 특정해 국제 공조 검거 예정
해외 발신 번호인 '070'을 '010'으로 변작 송출하는 불법 중계소를 운영, 350억원대 피싱 사기 피해를 일으킨 일당이 무더기로 검거됐다.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국내 관리자 A씨 등 63명(구속 56명)을 전기통신사업법 위반(발신번호변작등) 등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울러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총책 B씨와 관리책 등을 추가 특정, 국제 공조를 통해 신속히 검거한다는 방침이다.
A씨 등은 2024년 10월부터 올해 10월 말까지 서울과 경기 등 11개 시도에서 불법 중계소 51곳을 운영하며 해외 발신 번호인 070을 010으로 변작, 354억원 상당 피싱 사기 피해를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
이들에 의해 변작 송출된 010 번호로 인한 피해자는 768명(투자리딩사기 638명·노쇼사기 76명·물품사기 36명·보이스피싱 12명·로맨스스캠 6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총책 B씨는 해외에서 운영하는 사기 콜센터 운영자와 070 번호를 010으로 변작해 국내 송출하고 대가를 받기로 공모한 후 해외와 국내 관리책, 중계소 운영책을 모집했다.
이어 모집한 국내 관리자 A씨 등에게 변작에 사용할 통신장비인 휴대전화와 유심 등을 이른바 '던지기' 방식으로 제공해 불법 중계소 51곳을 운영토록 했다.
총책 B씨는 이처럼 전체적인 범행을 계획해 관리책을 모집했고, 관리책인 A씨 등은 고액 알바 홍보글이나 문자메시지를 받고 연락한 이들을 운영책으로 범행에 가담케 했다.
운영책 62명은 개인당 30~40개 중계기를 운영하면서 월 400만~6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운영책 가운데는 40~50대 부부와 처남·매부, 형수·시동생 등 가족관계인 피의자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지난 7월 초 이 사건과 별개인 마약류 투약자 검거 과정에서 불법 중계기를 발견했고 통신 수사와 폐쇄회로(CC)TV 1000여개 분석 등 수사를 벌여 불법 중계소를 단속, 운영자 등을 검거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중계기 역할을 한 휴대전화 1637개와 유심 4299개 등 26억원 상당 통신 장비를 압수하고 단속 과정에서도 계속 이어지던 피싱 사기 범행을 막기 위해 통신 장비 전원을 차단했다.
또 문자메시지를 분석해 사기 피해자 다수에 개별 고지해 범행을 예방하고, 범행에 이용된 전화번호 1213개에 대해 정지 요청했다.
경찰 관계자는 "중계소 운영자들에 대해 사기 방조 혐의를 추가 적용할 예정"이라며 "이 사건 총책과 사기 조직에 대해 집중 수사, 피싱 사기 범죄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 수 없는 010 번호로 전화나 메시지가 와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을 사칭하는 등은 피싱 범죄이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