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기 65% “과거 일본이 앞섰지만 이젠 동등 관계”

‘한·일 경제협력 중소기업 인식조사’ 응답자 50.3% “교류 확대 의향 있어” “교류 확대 위해 판로개척 지원 필요”

2025-11-24     박두식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30일 경북 경주 APEC 정상회의장에서 한일 정상회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국내 수출 중소기업 과반수는 일본과 대등한 위치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23일 발표한 ‘한·일 경제협력 중소기업 인식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65.5%는 ‘한·일 경제 관계는 동등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수·출입 비중이 있는 업체와 일본 외 국가 수·출입 기업 각각 200개사, 총 400개사가 참여했다.

응답 기업 10곳 중 2곳(23.5%)은 ‘과거에는 일본이 선도했으나 지금은 한국이 이끌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식품·화장품 업종에서 ‘현재 한국이 선도하는 중’이라고 답한 기업 비율(35.7%)이 가장 높았다. ‘한국이 지금도 후발자’라고 생각하는 곳은 11.0%로 파악됐다.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6곳(58.8%)은 일본과 관계 개선이 우리나라 경제와 기업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봤다. 또 전체의 절반 이상(50.3%)이 최근 한·일 관계 개선을 계기로 일본과 교류 확대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지난 30일 정상 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일본과 교류를 늘릴 의향이 있는 기업들이 꼽은 일본 시장의 장점 1순위는 ‘지리적 인접성(46.8%)’이었다. ‘우수한 기술력·품질(46.3%)’, ‘한류 등 한국에 대한 선호(24.9%)’, ‘문화적 유사성(14.4%)’ 순이 뒤를 이었다. 이들이 가장 기대하는 교류 활성화 분야(복수 응답)는 ‘수출 확대(82.6%)’로 조사됐다.

반면 교류 확대 의향이 없는 기업은 이유로 ‘일본산 원·부자재 부품 등을 대체했기 때문에(37.2%)’, ‘일본 시장의 낮은 매력도(28.6%)’, ‘양국 관계 불확실성 우려(20.1%)’ 등을 언급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한일 경제 교류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부 역할은 ‘전시회 등 판로 개척 지원(54.5%)’이 1위를 차지했다. ‘업종별 기술·인적교류 확대(38.0%)’, ‘보험·보증 등 금융지원 확대(31.8%)’, ‘규제·인증 등 맞춤형 시장 정보 제공(26.8%)’도 거론됐다.

한·일 양국이 함께 대처해야 할 경제문제(복수 응답)는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48.5%)’, ‘양자·다자간무역협정 체결 및 가입 확대(32.3%)’, ‘기술유출, 저가덤핑 등 신흥국과 무역 갈등 해소(8.5%)’ 등이 언급됐다.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이 필요하다는 기업은 35.3%였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구 구조 변화 등 양국이 공통으로 직면한 경제·산업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부품, 기술, 인력 등에서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한·일 중소기업 간 실질적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기중앙회는 25일 일본 도쿄에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중소기업 경제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