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형 주담대 금리 6%대 넘어서…'영끌족' 이자폭탄
주담대 금리 상승 '역주행'
기준금리 인하기에도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오르는 '역주행'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대출금리가 큰 폭 오르면서 4~5년 전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한층 커지게 됐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63~6.43%로 금리 상단이 6%대를 넘어섰다. 변동형 주담대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지난 9월부터 두 달 연속 상승한 데다, 금융채 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 연 3.93~5.33%, 신한은행 연 3.83~5.23%, 하나은행 연 4.46~5.76%, 우리은행 연 3.82~5.02%, 농협은행 연 3.63~6.43%를 나타냈다.
고정형 주담대 금리도 최고 연 6%대를 넘어섰다. 금융채 5년물 기준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국민은행 연 4.11~5.51%, 신한은행 연 4.00~5.41%, 하나은행 연 4.78~6.08%, 우리은행 4.02~5.22%, 농협은행 4.35~6.05% 수준을 보였다.
은행권 주담대 금리가 오른 것은 시장 금리가 전반적으로 오른 영향이다. 5년 만기 은행채 금리(무보증·AAA)는 지난 17일 기준 연 3.362%로 한 달 전 2.923%에서 0.439%p 상승했다. 은행채 6개월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561%에서 2.807%로 올랐다. 은행이 취급한 예·적금과 은행채 등 주요 수신상품의 금리가 오르면서 코픽스도 지난달 신규취급액 기준 2.57%로 전월 대비 0.05%p 상승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대출 수요가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린 영향도 있다. 연말이 다가오자 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 차원에서 금리 인상 등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난 2020~2021년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은 차주들은 최근 금리 재산정 시기를 맞으면서 빚 부담이 커지게 됐다.
예컨대 당시 5억원의 주담대를 2.50%(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로 빌렸는데, 올해 재산정받은 대출금리가 연 4.12% 수준(지난달 5대 은행 평균)으로 올랐다면 매달 내야하는 원리금은 197만원에서 242만원 가량으로 불어나게 된다.
대출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은행 대출 연체율도 들썩이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전월 말보다 0.02%p 상승했다. 주담대 연체율은 0.30%로 0.01%p 올랐다. 특히 서울 지역 주담대 연체율은 0.35%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