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136대 1…비서울 32배
비서울 경쟁률 4.19대 1…12년래 최저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이 집값 급등기 이후 4년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비서울의 청약 경쟁률은 12년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16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136.02대 1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163.84대 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고금리 여파로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은 2022년 10.25대 1로 급감했다가 2023년 56.93대 1, 2024년 108.3대 1로 상승했다.
서울을 제외한 지방(비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4.19대 1이었다. 이는 2013년(1.81대 1) 이후 12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비서울보다 32.4배 높았다. 이는 리얼투데이가 집계를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큰 격차다.
최근 5년간 서울과 비서울 청약 경쟁률 격차는 2020년 3.7배, 2021년 9.4배, 2022년 1.3배, 2023년 7.1배로 등락을 반복하다가 지난해 13.9배, 올해 32.4배로 점차 벌어지는 추세다.
한편 서울을 제외한 경기·인천(경인) 청약 경쟁률은 올해 기준 3.83대 1로 비서울 평균을 밑돌았다.
서울의 높은 청약 경쟁률은 신규 택지 공급이 한계에 다다르며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위주 공급이 이뤄져 일반분양 물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일반공급 물량은 2019년 1만833가구 이후 2020년 7531가구, 2021년 1721가구, 2022년 6707가구, 2023년 4833가구, 2024년 5896가구로 1만가구를 하회했다. 올해 일반분양은 1670가구에 그쳤다.
한편 올해 서울 분양 단지 중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6·27 대출 규제 발표 전 입주자 모집 공고가 나온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오티에르 포레’다. 지난 7월 진행된 1순위 청약의 경쟁률은 688.1대 1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