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發 철강 관세 폭탄 재점화…韓 산업 직격탄 우려

美 상무부, 700여개 품목 추가 관세 적용 검토 확정시 내년부터 1000개 품목에 고율 관세 업계 “기다리는 것 외 방도 없어” 하소연

2025-11-12     뉴시스
▲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품목을 기존 407개에서 최대 1000개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철강 기업들은 고율 관세 장기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직격탄을 우려하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미국 기업들로부터 관세 품목 추가 요청을 받은 95건, 700여개 품목의 추가 관세 적용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 기업들의 요청을 받은 상무부는 제출 마감일인 지난달 21일로부터 60일 이내 관세 품목 추가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미 상무부가 요청을 전부 승인할 경우, 내년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련 관세를 적용받는 품목은 기존 407개에서 1000개 이상으로 확대된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8월 407개 품목별 관세 부과 당시 미국 기업들의 요청 대부분을 수용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철강 제품 품목별 관세 추가는 광범위한 범위라는 점에서 국내에서 철강 제품을 만들고 수출하는 업체들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압축 금형 제품을 비롯해 캔 용기, 자동차 휠 부품, 축전지 부품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철강업계는 글로벌 관세 부과 움직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수입산 철강 제품에 대한 연간 무관세 수입쿼터를 줄이고, 초과 물량에 부과되는 관세율을 50%로 인상한다.

정부간 협상을 통해 관세율 인하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이에 고율 관세가 장기화 되고 있어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금속노조는 “정부는 여전히 관세부담 완화 협의 중이라는 피상적 대책만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책금융 확대나 수출보험 지원 강화 같은 실질적 재정 대책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업계는 글로벌 관세 부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미국의 최대 철강 수입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의 관세협상이 이뤄져야 국내와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품목 추가 확정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지금은 협상이 진전되기를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도가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고율 관세가 장기화 되는 추세인데, 전기료 인하와 같은 직접적인 지원 대책이 이뤄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