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한강벨트, 9월 매매가 절반이 신고가

서초 54%, 광진 50%…한강벨트도 40%대 과천 57%, 분당 43% 등 경기권 신고가↑·

2025-10-20     이광수 기자
▲ 직방 월간 매매거래량 및 신고가 비중. /뉴시스

6·27 대출 규제 후 주춤했던 아파트 매매 시장이 다시 들썩이면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직전까지 신고가 거래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직방이 2025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지난 9월 기준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다.

마포구(44%)·성동구(43%)·광진구(50%)·동작구(36%)·강동구(37%) 등 이번 대책에서 규제지역으로 새로 지정된 '한강벨트'도 신고가 비중이 빠르게 상승했다. 핵심지부터 거래 회복이 나타난 셈이다.

강남3구와 한강벨트에서 시작된 거래 회복세가 주변으로 퍼지며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도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노원(1%)·도봉(2%)·금천(2%) 등 외곽 일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경기도의 흐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회복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9월 기준 과천(57%), 성남 분당구(43%), 하남(11%)등에서 신고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성남 수정구(21%)·중원구(23%)·의왕(5%)·안양 동안구(9%) 등에서도 신고가 사례가 확인됐다.

다만 확산 속도는 지역별 격차를 보였다. 용인 수지(8%)·수원 장안(8%)·팔달(6%)·광명(7%) 등 이른바 중간권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인 반면, 비규제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10·15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 향방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여 시장 전반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른 '선택적 회복' 구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