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밤거리 장악한 中여성…불법·보건 사각지대

중국인 여성 중심 유흥가 급속 재편 불법체류·성매매·감염병 복합 위협 행정·치안 사각지대…"도시 공공질서 흔들"

2025-10-16     박두식 기자

폐광 이후 인구가 급격히 줄어든 강원 태백의 유흥가가 최근 들어 외국인 여성 종사자들로 급속히 재편되며 지역사회에 경고등이 켜졌다.

지역 내 유흥업소 상당수가 중국인 여성들로 사실상 장악되면서, 불법체류·보건·성매매 등 복합적인 도시 리스크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취재를 종합하면, 태백 시내 중심권의 룸살롱, 단란주점, 노래주점 등 상당수 유흥업소에 출근하는 도우미들이 사실상 중국인 여성들로 장악된 것으로 파악된다.

일부 업소는 중국인 업주가 직접 인수했으며, 종사자 수는 최소 수백 명이 넘는 것으로 업계와 주민들은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장성광업소에 이어 올해 도계광업소마저 문을 닫으면서 외국인 여성 유입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는 분석이다.

이들 외국인 여성들은 주로 관광비자(C-3)나 단기취업비자(C-4)로 입국한 뒤 체류기간을 초과하거나, 업소를 옮겨 다니며 불법 취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부는 결혼비자(F-6)로 입국해 유흥업소에 근무하기도 하지만 조선족의 경우, 방문취업 비자(H-2)나 재외동포 비자(H-4)로 입국해 취업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길림성 출신의 40대 여성 A씨는 "1년 전 안산에서 일하다 '태백이 돈이 된다'는 말을 듣고 왔다"며 "현재 다방에서 일을 하는데 도우미로 시간당 4만원, 두 시간에 7만원을 받는다"고 실상을 전했다.

산둥성 출신의 30대 여성도 "결혼비자로 6개월 전 입국했으나 태백으로 와 3개월째 다방과 단란주점 도우미로 일한다"고 밝혔다.

다방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인 B씨는 “12명의 종업원들이 일하는데 대부분 중국 여성이고 나머지는 조선족”이라며 “수도권의 중간 업자를 통해 다방에서 일할 여성을 소개받지만 불법체류 여부는 모른다”고 전했다.

문제는 유흥주점 외에도 신고제로 운영되는 '타이마사지' 업소 등에서도 불법체류와 보건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라는 점이다. 태백지역에는 현재 10여 곳의 타이마사지가 성업하고 있다.

가장 심각한 우려는 행정·치안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도시 리스크'다.

태백시 관계자는 "유흥업소 외국인 여성 증가 소문은 있으나, 행정적으로 체류자격 검증이나 건강검진 관리가 어렵다"며 경찰 및 출입국관리사무소의 합동 점검만 가능함을 토로했다.

태백경찰서 역시 "대부분 등록조차 안 돼 실태파악이 어렵다"며 보건·행정지도는 시의 몫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 종사자 대다수가 정기 건강검진 의무가 없어 성매개질환 및 감염병 관리의 '블랙홀'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시민 A씨는 "중국인 여성 유흥업 장악보다 큰 문제는 보건위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토로했다.

이는 비단 태백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6월 강원 철원군에서도 노인층을 상대로 한 외국인 여성 불법 성매매 의혹이 불거지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경찰은 단기비자를 이용해 지방 유흥업소로 흩어지는 외국인 여성들의 '이동형 영업 구조'가 이미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태백지역 유흥가의 외국인 확산 문제를 "지방 소도시 유흥가의 확산 단계"로 진단하며 경고한다.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경기침체 속에서 외국인 여성 인력의 급격한 유입은 단순한 고용 문제를 넘어, 보건·치안·노동질서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복합적 위험이라는 것이다.

태백시민행동 관계자는 "태백 유흥가의 외국인 여성 종사자 증가는 도시의 공공질서를 뒤흔들 수 있는 구조적 위기"라며 "행정의 손길이 모호한 제도 때문에 방치되면서 도시는 점점 위험한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