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M&A 위축에 3Q 누적 외투 18%↓…“4분기 개선 예상”
3분기 누적 외투신고액 206.5억弗 도착액 112.9억弗 제조업 신고·도착 모두 감소…서비스업 도착액 증가 美 관세 불확실성에 M&A 시장 위축 등 복합적 작용 정부, 외투 유치에 현금·입지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
올해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액(FDI)이 전년 동기 대비 18.0% 감소한 206억5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데다 인수합병(M&A) 시장 위축에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산업통상부는 2025년 3분기 누적 외국인 직접투자는 신고금액 기준 전년동기대비 18.0% 줄어든 206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15일 발표했다. 도착금액은 2.0% 감소한 112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장·사업장을 신·증설해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는 전년동기대비 6.1% 감소한 177억7000만 달러를 올렸다. 기업 지분 인수나 합병을 목적으로 한 M&A 투자는 28억8000만 달러로 54.0%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화공, 유통, 정보통신 업종을 중심으로 투자가 유입되며 전년대비 58.9% 증가한 49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유럽연합(EU) 25억11000만 달러(-36.6%), 일본 36억2000만 달러(-22.8%), 중국 28억9000만 달러(-36.9%) 등은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년 전보다 29.1% 줄어든 87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기·전자(28억5000만 달러, -36.8%), 화공(24억3000만 달러, -13.8%) 등에서 감소했고 운송용 기계(8억8000만 달러, 27.2%), 기타제조(2억 달러, 93.4%) 등에서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전년동기대비 6.9% 줄어든 111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유통은 122.5% 증가한 20억8000만 달러, 정보통신은 25.7% 늘어난 17억9000만 달러로 증가세를 보였고 금융·보험은 전년대비 43.6% 감소한 41억3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은 전년동기대비 25.7% 증가한 17억9000만 달러로 AI 분야에 대한 신고 증가세가 지속됐다.
도착금액은 112억9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 줄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115억1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기존에 투자 신고된 건들의 자금이 안정적으로 유입됐다고 볼 여지가 많다.
데이터 센터, 대형마트 등 서비스업 영위 사업장의 투자 유입 확대에 따라 그린필드가 전년 동기 대비 23.0% 증가한82억1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M&A 자금 도착은 1년 전 대비 36.5% 감소한 30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발 투자는 관세 영향이 적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자금이 도착해 29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99.7% 늘어난 수치다. 중국도 35.5% 증가한 4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EU(24억8000만 달러, -41.8%), 일본(4억5000만 달러, -60.5%)의 투자자금 도착은 하락했다.
도착금액도 제조업에선 감소하고 서비스업에선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 투자는 전년대비 25.5% 감소한 29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화공(13억6000만 달러, 80.9%), 운송용기계(1억4000만 달러, 6.9%) 등 분야의 투자 유입이 증가하고, 전기·전자(7억9000만 달러, -37.7%), 기계장비·의료정밀(3억1000만 달러, -43.3%) 등에서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늘어난 78억6000만 달러를 올렸다. 유통업(15억4000만 달러, 210.3%), 정보통신(10억8000만 달러, 24.1%)등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다. 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은 전년대비 24.1% 늘어난 10억8000만 달러로 AI 분야에 대한 도착이 지속됐다.
산업부는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데다 M&A 시장 위축으로 인한 대형 M&A 감소, 지난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에 따른 역기저효과, 전년대비 상승한 환율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봤다.
유법민 투자정책관은 “3분기 외투 실적 감소의 원인은 M&A 투자가 크다”라며 “올해 3분기까지는 큰 M&A가 거의 없었는데 4분기에는 M&A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해당 M&A가 성사되면 3분기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미국 투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선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제조 공장을 설립해서 수출하는 투자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최근 통상환경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며 “미국발 투자는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정상적으로 이뤄지면서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보통신 분야 중심의 AI 분야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어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기초체력)에 대한 외국인투자가들의 신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며 “외국인투자 도착은 지난해 3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신고된 투자 건들이 일정한 시차를 두고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