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 헌신한 간호사들…"숨은 이야기 들어보실래요"
간협, 독립운동 간호사 재조명 캠페인 진행
대한간호협회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간호사들의 업적을 대국민적으로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간호협회는 지난 9월 1일부터 '간호로 지킨 나라, 우리가 지킬 이름'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도 아직 정부 서훈을 받지 못한 간호사들의 명예 회복과 역사적 재평가를 목표로 하며 국가보훈부가 후원한다.
공중파 라디오와 협력해 제작되는 연속 기획물 '대한민국을 간호하다'는 국민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내년 8월까지 매일 세 차례 방송되며 120초 분량의 이야기 형식으로 이화숙·노순경·한신광 등 15명의 간호사 독립운동가의 삶을 소개한다.
간호협회는 앞서 2022년에도 '대한민국을 간호한 간호사들' 프로젝트를 통해 박자혜·임수명·이아주·김순애·정종명·최혜순 등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목소리를 국민에게 전한 바 있다.
9월부터 방송된 라디오 캠페인 첫 회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창기 활동에 앞장섰던 이화숙 선생의 삶이 조명됐다. 그는 1910년대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했으며 대한여자애국부인회 초대 회장과 대한적십자회 발기인으로서 여성 독립운동과 의료·간호 체계 구축에 큰 역할을 했다.
이화숙 선생의 후손은 방송에서 "할머니가 독립운동가였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너무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환 수원대 명예교수는 "이화숙은 여성 독립운동사의 상징적 존재로 간호사로서 '제2의 독립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10월 두 번째 편에서는 3·1운동에 참여하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노순경 지사의 삶을 다뤘다. 그는 유관순 열사와 같은 감방에서 독립의 열망을 함께 나눴으며 세브란스 의사 스코필드 박사가 고문으로 신음하는 그의 모습을 보고 총독부에 항의한 일화도 전해진다. 조카 노용탁 씨는 "고모처럼 나라를 위해 헌신한 여성들이 얼마나 되겠느냐"며 "젊은 세대가 반드시 애국심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간호협회가 발굴한 간호사 독립운동가는 총 74명이다. 이 중 58명이 정부 서훈을 받았지만, 여전히 16명은 미서훈 상태다. 협회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국민적 관심을 모아 이들의 서훈을 촉구할 계획이다.
캠페인은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QR코드를 통해 자료를 내려받고, '#간호의_이름으로' '#독립운동가74인' '#서훈은_약속입니다'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추모 메시지나 서훈 촉구 글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시하면 된다. 지인을 지목하는 릴레이 방식으로 참여를 확산할 수도 있다.
신경림 간호협회 회장은 "간호사 독립운동가들의 이름과 업적은 대한민국의 역사 속에서 반드시 기억돼야 한다"며 "이번 캠페인이 국민과 함께하는 역사적 기록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많은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YTN 라디오 '대한민국을 간호하다'는 내년 8월까지 매일 오전 6시 35분, 낮 12시 55분, 오후 6시 55분에 방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