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국민 메신저’서 AI 담은 ‘슈퍼 앱’으로 대전환
채팅방 폴더·메시지 수정 등 톡 편의 강화 챗GPT, 카톡 채팅서 호출…카카오 서비스와 연동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맞는다. 채팅방을 목적별로 묶고 보낸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는 등 이용자 편의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동시에 오픈AI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능을 적용한 ‘슈퍼 앱’으로 진화한다.
카카오는 23일 오전 경기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이프카카오 25’를 열고 카카오톡 개편안을 발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톡은 지난 15년간 관계를 확장하고 일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 왔다. 이번 개편은 역사상 처음 있는 최대 규모 변화로 사용자 목소리를 반영해 더 쾌적하고 자유로운 대화 환경을 만들고, 나를 표현하고 세상을 탐색하는 공간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고 말했다.
이어 “AI 시대의 도래로 우리의 일상도, 대화 방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며 “이제 ‘카톡해’라는 말은 단순히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넘어 카카오 AI를 통해 더 큰 세상을 경험한다는 의미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톡 구체적인 개편안은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가 소개했다. 그는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쓰는 5000만 이용자라면 저마다 크고 작은 불편이 있었을 것이다. 어떤 변화는 반가울 수도 있고 낯설 수도 있다. 하지만 공통의 목표는 ‘더 쾌적한 대화 경험’”이라고 밝혔다.
채팅탭에는 ‘채팅방 폴더’ 기능이 도입돼 가족, 친구, 직장 등 대화 목적에 따라 최대 10개 폴더를 만들 수 있고 각 폴더에는 최대 100개 채팅방을 담을 수 있다. 보낸 메시지는 24시간 내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말풍선에는 ‘수정됨’ 표시가 붙는다. 채팅방을 살짝 당기거나 꾹 눌러 읽지 않은 메시지를 미리 보는 기능도 연내 도입될 예정이다.
보이스톡에는 통화 녹음·텍스트 변환·AI 요약 기능이 적용된다. 기기 종류나 통신사와 관계없이 누구나 통화를 녹음할 수 있고 녹음된 내용은 카카오 AI가 자동으로 정리·검색할 수 있다.
홍 CPO는 “보이스톡·페이스톡은 매달 2000만명이 이용하는 대표적 통화 서비스다. 사용자는 긴 파일을 일일이 들을 필요 없이 대화 내용을 스크롤로 확인하고 특정 단어를 검색해 바로 찾아볼 수 있어 통화에서 채팅까지 끊김 없는 경험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통화 내용은 요약 후 즉시 삭제되며 학습용으로 서버에 전달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친구탭은 인스타그램처럼 피드형 인터페이스(UI)로 바뀌어 프로필 변경 내역이나 게시물을 타임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개 범위 설정 등 프라이버시 기능도 강화됐다.
카카오톡 개편 또 하나의 핵심은 AI다. 카카오는 다음 달부터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별도 앱 설치 없이 챗GPT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오픈AI 최신 모델 GPT-5를 적용해 텍스트·이미지 처리, 파일 인식, 이미지 생성 등 기존 챗GPT 기능을 카카오톡 안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챗GPT는 카카오 서비스와도 연결된다. 선물 추천, 음악 추천, 위치 검색 등 이용자 요청을 인식해 ‘카카오 에이전트’가 멜론·카카오맵·선물하기 등 카카오 서비스 실행으로 이어진다. 올리버 제이 오픈AI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은 “카카오와 협력해 챗GPT를 현지화된 방식으로 제공하게 돼 기쁘다. 카카오 생태계와 결합해 사람들의 일상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 대화 속 맥락을 이해해 일정 관리, 예약, 검색 등을 먼저 제안하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올해 안에 도입할 예정이다. 읽지 못한 대화를 요약해 주고 긴 통화를 간결하게 정리해 주며 숏폼 기능에도 AI 기반 영상 생성 기술을 접목한다.
이 중 ‘카나나 검색’은 대화 중 언제든 AI를 불러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고 검색 결과를 공유하는 기능으로 기존 채팅방 입력창에 있는 ‘샵(#)’ 검색을 대신한다.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대화 소재를 발굴하는 역할로 수행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카나나는 단순히 요청에 응답하는 AI가 아니다. 먼저 말을 걸고 오늘 해야 할 일을 브리핑하며 필요한 정보를 찾아주고 공연 예매나 상품 구매까지 제안하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며 “한국어 뉘앙스를 가장 잘 이해해 복잡한 다자간 대화 속에서도 맥락을 감지하고 적절한 에이전트를 실행한다”고 말했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카카오가 직접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인 ‘카나나 나노’를 활용한다.
강지훈 카카오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프라이버시 퍼스트 원칙 아래 데이터를 외부로 보내지 않고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하도록 설계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어 이해 능력을 갖춘 ‘카나나 나노’는 글로벌 동급 모델을 압도하는 성능을 자랑하며 이용자 일상에 꼭 필요한 순간 안전하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능들은 카나나 웹사이트에서 베타 테스트 신청을 통해 먼저 경험할 수 있다. 선정된 인원은 다음 달 중순부터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