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구하기 힘들어…10년새 80.5%→15.8%
집토스 “서울 생애 첫 주택 발판 사라져” ‘전용 50㎡ 이상 6억 이하’ 강남권 1% 미만
청년과 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수단이었던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10년새 5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 분석에 따르면, 서울 전체 거래에서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80.5%에서 2025년 15.8%로 급감했다.
면적대별로는 신혼부부 최소 주거 면적인 ‘전용 50㎡ 이상’으로 조건을 좁히자,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2015년 78%에서 2025년 9.2%까지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5.6%에서 33.3%로 6배 증가했고, ‘15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도 27.3%까지 늘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 서초구, 성동구, 용산구, 마포구, 송파구 6개 구에서는 ‘전용 50㎡ 이상,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1% 미만으로 사실상 시장에서 완전히 소멸했다.
과거 중산층의 주거지로 여겨지던 동작구(1.1%), 영등포구(1.2%), 동대문구(5.0%) 등 총 13개구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5%를 밑돌았다.
현재 전용 50㎡ 이상,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30%를 넘는 곳은 도봉구(60.3%), 금천구(50.5%), 강북구(34.7%), 노원구(32.7%), 중랑구(32.6%) 등 서울 외곽지역 5개 구에 그쳤다.
서민·청년에 대한 대표적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은 6억원 이하 주택에만 적용되고 있어, 이 대출로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게 집토스의 지적이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데이터는 단순히 집값이 오른 것을 넘어, 청년 세대가 서울에서 생애 최초 주택 구매로 진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발판 자체가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시장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정책은 청년들의 박탈감만 키울 뿐이다. 이제는 대출 기준의 현실화와 함께, 청년과 신혼부부가 실제로 접근 가능한 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