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 피해, 서초·일산까지 번졌다…KT, ARS만 집계해 피해축소 도마
신고 건수 지난 2002년부터 7198건 집계 침해 신고 해마다 급증…올해 1649건 수준 중소기업 82% 비중…정보통신업 가장 많아
최근 6년간 기업이 당국에 신고한 사이버 침해사고가 70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의 경우 당초 알려진 지역 외에 서울 동작·서초·영등포·관악·고양 일산동구까지 털린 것으로 파악됐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2년부터 이달 14일까지 접수된 사이버 침해신고 건수는 7198건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 소관 금융회사 해킹 사례까지 포함된 수치다.
연도별로는 2020년과 2021년 각 603건, 640건 정도였는데 2022년 1142건으로 급증했다. 이후 2023년 1277건, 지난해 1887건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는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1649건으로 지난해 연간 건수에 근접했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이 5907건(82%)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 중견기업 592건, 대기업 242건 순이다. 비영리기업도 457건이다.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해킹 건수가 적지만 기업수 자체가 적은 영향도 있다. 다수의 고객 정보를 보유한 대기업은 해킹 피해가 발생하면 파급력 역시 클 수 밖에 없다.
유형별로는 시스템 해킹이 4354건(60.5%)으로 가장 많았다. 또 악성코드 감염·유포 1502건(20.9%), 디도스 공격 1342건(18.6%)이 뒤따랐다.
특히 시스템 해킹은 2020년 250건으로 그 해 발생한 침해사고 603건 중 41.4%였으나 지난해는 1887건 중 1373건으로 비중이 72.8%까지 증가했다. 지난 2023년 시스템 해킹신고가 764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사이 약 2배 가량 뛴 수치다.
올해도 전체 1649건 중 1011건(61.3%)이 시스템 해킹으로 집계됐다. 시스템 해킹은 반복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2020년부터 지난달까지 2회 이상 시스템 해킹을 신고한 기업은 367곳이다. 3회, 4회 이상 신고한 곳도 각 71곳, 31곳에 이른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이 침해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업종별 침해사고 신고 1위로 올해 들어 지난달 10일까지 514건 접수됐다. 이외에도 제조업, 협회 및 단체 수리, 기타 개인 서비스업 피해도 잦았다.
황 의원은 “최근 통신사와 금융기관 해킹으로 국민 피해가 극심해지면서 이제 사이버 보안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닌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민관이 함께 대응해 나가야 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며 “KT 사태에서처럼 고의적 은폐나 축소가 드러난 경우 징벌적 제재를 가해 기업 책임성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의 적극적인 침해 대응에 대한 지원은 대폭 강화해 사이버 안보를 강화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황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증 시간 기준 소액결제 해킹 피해 지역은 당초 알려진 서울 서남권·서울 서초구·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KT가 비정상적인 결제를 차단하기 직전인 4일과 5일에도 100건에 가까운 무단 결제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피해건수는 83건, 피해액은 2499만원이다. 5일에는 1549만8000원 가량의 14건 피해가 발생했다.
앞서 KT는 국회에 4일과 5일에는 피해 건수가 없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 1차 발표에서 피해자수를 278건으로 집계했다가 4~5일 피해를 포함해 362건으로 정정했다. 피해 건수는 1차 집계 당시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어났다.
황 의원은 KT 피해 현황이 점차 확대되는 이유로 회사가 자동응답전화(ARS)에 국한해 소극적인 대응을 하기 때문이라고 봤다. 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가 이뤄진 사례만 주목해 패스(PASS) 인증 등으로 인한 해킹 정황을 제대로 살피지 않는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