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년간 6만명 신규채용…‘인재 경영’ AI·반도체·바이오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 국내 4대 그룹 중 유일 공채 제도 운영 이재용 “기술인재 핵심 경쟁력…미래 걸려”
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한다.
삼성은 18일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채용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 평균 1만2000명 수준이다.
주요 채용 분야는 반도체 등 주요 부품 및 바이오·인공지능(AI) 분야다.
삼성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시장의 확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성능 메모리 등 첨단 반도체와 혁신 제품의 개발 능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특히 AI 시장에서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사장)은 “2030년까지 전 업무의 90%에 AI를 적용해 회사의 근본 혁신을 이루겠다”며 ‘AI 드리븐 컴퍼니’(AI 주도형 기업)’로 전환을 선언했다.
미래 먹거리로 자리잡은 바이오 산업에서도 채용을 늘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위탁개발생산) 분야에서 생산능력과 사업영역 모두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삼성은 인재제일의 경영철학을 실천하고 청년들에게 공정한 기회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기 위해 1957년 국내 최초로 도입한 공채제도를 유지 중이다.
또 청년 고용확대를 위해 ▲채용연계형 인턴제도 ▲기술인재 채용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술력 우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마이스터고 졸업생과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 등의 채용에 앞장서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기술인재는 포기할 수 없는 핵심 경쟁력”이며 “미래는 기술인재의 확보와 육성에 달려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삼성은 직접 채용 이외에도 사회적 난제인 ‘청년실업 문제’ 해소에 기여하고자 삼성청년SW·AI아카데미(SSAFY), 희망디딤돌2.0 등 다양한 ‘청년 교육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삼성의 청소년 교육·상생 협력 관련 CSR(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직·간접적으로 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