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눈덩이…'199명·1억2600여만원' 경찰 수사 확대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인천 등 접수
KT 가입자 명의 휴대전화에서 자신도 모르게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신종 범죄 피해자가 199명으로 늘었다. 피해액은 1억2600만여원 상당이다.
15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기준 피해자는 광명 118명(7750만원), 서울 금천 62명(3760만원), 부천 7명(580만원), 과천 9명(410만원), 인천 3명(160만원) 등이다.
경찰은 피해 규모가 지속 늘어나고 있는 만큼 추후 피해 접수 건에 대해서 유사성을 판단하고 병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초까지 새벽시간대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시 금천구, 부천시 등에 거주하는 시민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결제 등 수십만원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벌어졌다.
경찰은 늦은 밤 시간에 갑자기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완료됐다'는 문자를 받은 시민 신고를 접수 정확한 사건 경위를 들여다 보고 있다.
현재까지 경찰 조사 결과 피해자들은 KT 통신사를 이용한다는 것, 피해가 새벽 시간에 발생했다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없다. 당초 같은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개통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으나 이 역시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피해자는 갑자기 카카오톡이 로그아웃되거나 일부 앱이 자동으로 켜지는 등 현상을 겪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공통 현상은 아니다.
경찰은 피해자 휴대전화를 임의 제출받아 디지털 포렌식하는 등 수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범행은 그간 사례가 없는 최초 수법으로 보인다"며 "범행 관련 다각도로 수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 원인으로 가상의 유령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범인이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가지고 이동하면서 주변 네트워크를 가로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긴급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펨토셀은 반경 10m 통신을 제공하는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용 초소형, 저전력 이동통신 기지국이다. 데이터 통신량 분산이나 음영지역 해소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다.
KT는 2013년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 홈 펨토셀을 개발했다며 상용화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