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수색작전 지휘' 이용민 前 포7대대장 28일 소환
특검, 피의자 신분 소환…수중수색 진행 경위 조사 박정훈 4차 조사…이종섭 호주대사 임명 과정도 조사
해병대원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사고 당시 현장 지휘관이었던 오는 28일 이용민 전 해병대 포7대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27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이 전 대대장을 내일 오전 9시30분부터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 이 전 대대장은 채 상병이 물에 빠져 실종됐던 2023년 7월 19일 경북 예천군 내성천 보문교 일대에서 진행된 실종자 수색작전을 지휘했다.
특검팀은 이 전 대대장을 상대로 수색작전 당시 해병대원들이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없이 수중수색에 투입된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이 전 대대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먼저 전우를 지켜주지 못하고 부하를 잃은 지휘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이번 특검 조사에 있는 그대로 정직하고 성실하게 답변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대장의 변호인인 김경호 변호사는 "이 전 대대장이 자신의 과실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의 본질은 현장 지휘관의 합리적 판단을 억누른 상급자의 위법한 지휘권 행사에서 찾아야 한다"며 "그의 과실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불가항력적 상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한다"고 했다.
특검팀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박상현 전 7여단장, 최진규 전 포11대대장 등 현장 지휘관들을 잇따라 소환해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조사와 관련해 피의자 및 참고인 조사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 특검보는 "이 사건을 맡아서 진행하는 입장에서 조금 다른 시각으로 사건을 보고 당사자 입장을 다시 확인할 필요도 있다"며 "수사를 진행하면서 확인하게 된 다른 내용들도 당사자한테 물어야 할 필요도 있다. 기록이 워낙 많다 보니 점검할 부분과 새롭게 나올 부분, 확인이 안 됐다고 여겨지는 부분을 확인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정 특검보는 국회의 특검법 개정 논의에 대해 "수사인력 증원과 수사기간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고 일부 반영된 것 같다"면서 "특검팀 입장에선 인력이 빨리 보강되는 것이 중요해 개정이 빨리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고 했다.
특검팀은 이날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 대한 4차 참고인 조사를 진행 중이다.
박 대령은 이날 오전 9시52분께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박 대령은 '추가 조사 전망도 나오는데 수사단장 직무와 병행하기 어려움이 있지 않나'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수사단장 직무나 특검의 조사에 협조하는 것이나 다 제가 해야 할 소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열심히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에선 2023년 7월 31일 이후 상황에 대한 사실관계를 전반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앞선 조사에서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한 상황까지 상황을 다시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과정 수사를 위해 참고인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