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실무작업반 가동…“내달 30일부터 324만명 신용사면”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신속 준비해달라” 당부 금감원, 비조치의견서로 검사·제재 불확실성 낮춰

2025-08-20     이광수 기자
▲ 송파구의 한 종합상가 점포 앞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정부가 324만명 규모의 신용사면을 단행키로 한 가운데 금융권이 서민·소상공인 신용회복 지원을 위해 힘을 모은다.

은행연합회 등 금융권 협회장, 농협중앙회 등 상호금융권 중앙회장, 나이스평가정보 등 신용정보회사 대표이사들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서민·소상공인 신용회복 지원을 위한 금융권 공동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과 금융감독원 이종오 부원장보도 이 자리에 참석했다.

금융권은 코로나19와 경기침체로 연체를 경험한 후 이를 성실하게 상환한 서민과 소상공인의 신속한 경제적 재기를 돕기 위해 협약식을 개최했다.

정부는 다음달 30일부터 코로나19 기간 동안 발생한 5000만원 이하 연체 채무를 성실 상환한 324만명의 연체이력정보를 삭제하는 역대 최대 규모 신용사면을 단행한다.

지원대상은 2020년 1월 1일부터 오는 8월 31일까지 발생한 소액(5000만원 이하) 연체를 오는 12월 31일까지 전액 상환하는 개인과 개인사업자다. 2020년 1월 1일부터 지난 6월 30일까지 소액연체가 발생한 개인과 개인사업자는 약 324만명이며, 이중 272만명이 현재까지 전액 상환을 완료해 지원 대상에 해당된다.

금융권은 한국신용정보원을 중심으로 각 협회와 신용정보회사가 참여하는 ‘실무 작업반’을 구성하고, 다음 달 30일 신용회복 지원조치 시행을 목표로 준비에 나설 예정이다.

또 시행일에 맞춰 NICE지키미, KCB 올크레딧 등을 통해 본인이 신용회복 지원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번 조치와 관련해 금융사가 연체이력정보를 활용하지 않음에 따른 검사·제재의 불확실성이 없도록 선제적으로 비조치의견서를 발급할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권에 “이번 신용회복 지원에 따라 최대 324만명이 연체기록 삭제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서민·소상공인들이 하루라도 빨리 정상적 경제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전산개발 등 신속한 준비를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