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주택사업 경기 전망지수 큰폭 하락…매수 심리 위축

6·27 대책 여파 주택사업 경기 전망 악화 자금조달 어렵고 추가 규제 가능성 증가 불확실성 커

2025-08-19     이광수 기자

6·27 대책 여파로 이달 주택사업 경기 전망이 큰 폭으로 악화했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월 주택사업 경기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4.0포인트(p) 하락한 76.0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57.1p 하락한 66.6을 기록했다. 서울 71.0p(135.1→64.1), 경기 53.0p(122.2→69.2), 인천 47.1p(113.7→66.6) 순으로 하락했다.

연구원은 “자금조달 문턱이 높아지고 추가 규제에 대한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자, 수요자들은 주택 구입 결정을 미루고 집주인들도 가격 조정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매수자·매도자 모두 거래를 주저하는 모습”이라며 “이러한 시장 분위기가 사업자들 심리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비수도권은 16.9p 하락한 78.0으로 전망됐는데, 광역시는 16.6p 하락한 82.2, 도지역은 17.1p 하락한 74.8로 전망됐다.

광역시는 대전 34.8p(106.2→71.4), 세종 27.7p(120.0→92.3), 울산 13.7p(93.7→80.0), 부산 13.2p(95.0→81.8), 광주 7.6p(88.8→81.2), 대구 2.5p(89.4→86.9) 순으로 하락했다. 도지역은 경남 28.6p(100.0→71.4), 충북 26.6p(116.6→90.0), 강원 23.3p(83.3→60.0), 충남 21.4p(92.8→71.4), 경북 20.4p(84.6→64.2), 전남 7.8p(71.4→63.6), 제주 6.2p(93.7→87.5), 전북 1.9p(92.8→90.9) 순으로 하락했다.

이달 전국 자금조달 지수는 전월 대비 21.6p 하락한 71.2로 나타났고, 자재수급 지수도 전월 대비 6.8p 하락하면서 93.2로 전망됐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미분양 물량이 상당히 적체되면서 사업자들의 자금 부담이 커진 가운데, 6·27 대출규제가 중도금·잔금대출은 물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자금 대출에도 영향을 미치며 분양 대금 회수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