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 ‘기후변화 등 농업 위기 공동 대응 협력 강화’ 전원 합의
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공동선언문 채택 식량안보·동물질병·농업유산 등 협력 확대
한일중 3국이 기후위기와 고령화 등 농산업에 닥친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전원 합의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송미령 장관이 11일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한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과 함께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선언문에는 ▲식량안보 ▲동물질병 대응 ▲지속가능한 농업 ▲농촌지역 활성화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협력 ▲글로벌 협력 등 6개 핵심 의제에 대한 3국의 협력 방안이 담겼다.
우선 식량 안보 분야의 협력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3국은 기후 변화와 공급망 불안정에 대응해 정책과 정보를 공유하고 위기 상황에서의 공동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동물 질병 대응 협력 방안도 담겼다. 3국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초국경 질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수석 수의관 회의를 정례화하기로 하고, 정보 공유와 전문가 교류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지속 가능한 농업 협력도 합의됐다. 3국은 저탄소 농업, 스마트 농업 기술 등 기후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 교류와 공동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농촌 지역 활성화 협력과 관련해서도,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 정책과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중앙과 지방, 민간 간의 정책 교류를 확대하기로 뜻을 모았다.
세계 중요 농업유산 협력에 관해서는 농업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관광, 교육, 브랜드화 등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제주 국제회의와 연계한 실무 협의도 추진하기로 했다.
글로벌 협력에 관한 내용도 담겼는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국제 무대에서 공동 대응을 더욱 강화하고 아세안+3 긴급 쌀 구축 제도와 식량 정보 시스템 등 역내 협력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회의 이후 관련 브리핑을 열고 “회의에서 합의한 내용은 공동 선언문으로 채택해 서명을 완료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 연대성과 현장 적응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시대”라며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해법을 모색한 이번 회의는 단순한 회의를 넘어서 새로운 협력의 출발점이 됐다. 앞으로 한일중 3국이 함께 만들어갈 지속 가능한 아시아 농업의 미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