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토화된 수해지역 '폐기물' 산더미…"국비 지원·신속 처리"
환경부, 폐기물 처리지원반 가동…처리 상황 관리
정부가 집중호우로 발생한 수해지역 폐기물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총력전에 나선다.
환경부는 23일 재난 폐기물 처리를 위해 '폐기물 처리지원반'을 가동하고, 이날 오후 청주 오송역 인근 회의실에서 처리지원반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환경부와 7개 유역환경청, 한국환경공단 전문가 등 70여명이 참석해 ▲재난 폐기물 발생 규모 산정 및 처리 상황 관리 ▲긴급 조치 필요 지역 수거 장비 지원 ▲폐기물 처리비 국비 편성 및 지원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지자체가 신속하게 재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수거·운반·처리·용역 발주 현황과 일일 수거·처리 실적을 관리한다.
특히 용역 계약이 지체되는 지자체를 집중 관리하고, 정부의 복구 계획이 확정되는 대로 국비를 빠르게 편성해 교부할 계획이다.
재난 폐기물 발생 규모 산정의 정확도도 높인다. 이를 위해 유역환경청 직원만 참여하던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에 환경공단 전문가들도 투입할 방침이다.
이번 호우로 234곳 이상의 축산 농가가 침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악취·부패·해충 등 2차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2차 피해가 우려되는 퇴액비 등 축산 폐기물에 대해서는 복구 계획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지자체가 자체 비용을 투입해 우선 처리하고, 사후에 국비 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유역환경청은 재난 폐기물 처리 시설 등을 매주 현장 점검하고, 석면 슬레이트 및 폐유 등 각종 지정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 기준을 안내할 예정이다.
환경공단은 각 지자체별 재난 폐기물 처리 계획에 대한 검토와 자문을 실시한다. 또 수거 장비가 부족한 지자체가 관련 장비를 요청할 경우 공단과 계약된 집게 차량 보유 사업자가 현장 지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환경부도 수해 피해 지역에서 배출된 폐가전 제품과 폐태양광 채널의 신속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해 지자체 또는 주민이 전화 요청 시 방문 수거를 지원할 계획이다.
김고응 자원순환국장은 "재난폐기물 처리는 피해지역 복구의 첫 단계"라면서 "피해 주민들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모든 가용 인력과 자원을 동원해 재난 폐기물의 신속한 처리 및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