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옹호’ 대통령실 강준욱 비서관 사퇴…강선우는 임명 수순
‘보좌진 갑질’ 의혹 강선우엔 “번복 없다”…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李정부 정치철학 이해하는 보수계 인사로 임명”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해 논란을 빚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이 22일 자진 사퇴했다. 대통령실은 후임자도 보수계 인사 가운데 임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강 비서관이 오늘 오전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며 “자진 사퇴를 통해 자신의 과오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국민께 전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에 수용해 국민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사퇴 배경에 대해 “국민통합비서관은 분열의 정치를 끝내고 국민 통합을 동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신설된 자리로 이 대통령의 국민 통합 의지를 보여준다”며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국민도 넓게 포용하겠다는 대통령 의지에 따라 보수계 인사 추천으로 임명했지만 국민주권 정부의 국정철학과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국민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후임 국민통합비서관은 이재명 정부의 정치철학을 이해하고 통합의 가치에 걸맞은 인물로 보수계 인사 중 임명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이재명 정부는 국민의 뜻에 최우선으로 귀를 기울이는 국민주권 정부의 길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펴낸 저서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12·3 비상계엄을 “민주적 폭거에 항거한 비민주적 방식의 저항”이라고 했다. 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선 “국민에게 상황의 답답함과 막막함을 알리는 방식으로 계엄을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 20일 “수개월간 계엄으로 고통을 겪으신 국민께 제가 펴낸 책의 내용과 표현으로 깊은 상처를 드렸다”며 사과문을 냈으나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전날에는 ‘식민지 근대화론’ 등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펼쳐온 점이 재조명되면서 비토 여론이 확산했다. 그는 2018년 올린 것으로 추정되는 글에서 대법원의 강제동원 관련 판결을 부정하며 “나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믿으며 강제징용이란 것을 믿지 않는다”고 썼다.
대통령실은 애초 임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여권 안팎에서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자 강 비서관의 거취를 놓고 고심하다가 결국 자진 사퇴하는 방식으로 논란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보좌진 갑질’ 의혹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예정대로 밟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할 방침이다.
강 후보자의 경우 야당은 물론 참여연대와 민주노총 등 진보 진영에서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대통령실은 ‘번복은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