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사칭 물품 대리 구매’ 피해 주의보 발령

서울시 최소 9건(피해 2, 미수 7) 발생

2025-07-22     류효나 기자

서울시는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공공 기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사칭 사기 수법이 서울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최소 9건 이상 발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공무원 사칭 피해 주의보를 발령하고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무원을 사칭해 업체에 물품 구매를 대행해 달라고 요청하고 물품 대금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한 뒤 연락을 끊는 수법이다.

공무원 사칭 피해는 이달 들어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양양군, 광명시, 횡성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경기소방, 충북소방, 강원소방 등 공공 기관으로 확산되고 있다.

서울시가 긴급 실태 조사한 결과 최소 9건 사칭 사례가 확인됐다. 이 중 2건은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했으며 7건은 미수에 그쳤다.

서울시에서 확인된 사례들 역시 실제 공무원 발주 요청처럼 보이도록 위조된 명함, 발주서 등을 사용해 정상적인 거래처럼 꾸몄다. 이들은 피해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거나 즉시 발주가 곤란한 물품을 제3의 업체로부터 대리 납품하도록 유도한 후 납품 대금을 계좌 이체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을 썼다.

시는 시민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 예방 수칙’을 마련했다.

김명선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물품 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