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책' 총장들 23일 결론…학내 갈등·괴롭힘 우려도

의대생 복귀 조치…유급 후 2학기 복학 유력 유급 포함 미복귀 학생 복귀 시 형평성 문제 복귀 학생 괴롭힘 우려에 교육부 수사의뢰도

2025-07-20     박두식 기자
▲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1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실습준비실 모습. /뉴시스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수업을 거부해온 의대생들의 2학기 복학을 허용하고 의사국가고시(국시) 추가 시행을 건의하기로 의견을 모으면서, 의대생 복귀 후속조치가 이르면 23일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먼저 복귀한 학생들과의 형평성과 집단 괴롭힘 우려 등은 과제로 남은 상황이다.

20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오는 23일 회의를 열고 의대생들의 복귀 선언 후속조치 논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총장들은 지난 17일 진행된 긴급회의에서 1학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아 유급 대상이 된 8000여 명에 대해 행정 처분을 유지하되, 이들의 2학기 수업 복귀를 허용하기로 했다.

통상 의대는 1년 단위로 교육과정이 구성돼 1학기에 유급 처분을 받으면 학년 진급 자체가 누락된다. 총장들은 학생들 구제를 위해 이를 학기제로 바꿔 2학기에 의대생들이 복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교양 수업 위주인 예과 1·2학년은 내년 3월 정상 진급할 수 있다. 본과 1학년과 본과 2학년은 2029년 2월, 2028년 2월에 각각 학부 과정을 졸업하게 된다.

본과생들에 대한 구제책은 학장들과의 논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본과 3·4학년은 최소 52주의 임상 실습을 수료해야 하는데, 당장 다음달부터 복학한다고 하더라도 물리적으로 내년 8월 코스모스 졸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본과 4학년은 한 학기 수업을 더 듣고 내년 8월 졸업할 수 있다. 이에 총장들은 정부에 의사 국시 추가 시행을 건의하기로 했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가 의대 정원을 3058명에서 5058명으로 조정하는 의료개혁안을 발표한 이후 의대 교육 질 저하 등을 이유로 수업 거부를 이어왔다. 교육부는 3월까지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의대 모집인원을 다시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복귀율은 25% 그쳤다.

이 가운데 지난 12일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대협 비대위) 위원장이 의대생 전원 복귀를 선언하면서 의료정상화 논의는 급물살을 탔다.

하지만 학교 현장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유급 대상자를 포함한 미복귀 학생을 2학기 복학시킬 경우 1학기에 학교로 돌아온 학생들과 형평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세대 의대 보직 교수들은 최근 의대 학과장에게 집단으로 보직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복학한 학생들의 불만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기복귀자와 2학기 복학하는 의대생들이 함께 수업을 들을 경우 기복귀자에 대한 집단 괴롭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최근 언론보도와 인터넷 게시글 등에 따르면 의대생으로 추정되는 이용자가 "감귤들아 우리가 간다. 돌아가면 니들 강간해버린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감귤'은 복귀한 의료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알려져있다.

또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기수에서 열외시키겠다고 협박하거나, 생명과 신체에 직접 위해를 가하고 학업과 업무 등에서 불이익을 예고하는 글도 있어 교육부가 수사의뢰한 상황이다.

의총협 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학생들의 보호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구하는 등의 절차가 중요하다"며 "아직 확정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다음 주에 빨리 마무리할 생각"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