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 ‘급제동’…3주 간 0.43%→0.19%
부동산원 7월 3주 아파트 가격 동향 강남권 상승세 감소…성동·광진 상승세 지속
6·27 대출규제 3주 만에 서울 집값 상승세가 눈에 띄게 둔화하며 6월 초 수준으로 회복했다. 관망세에 접어들면서 강남권의 상승세가 빠르게 둔화되는 가운데 성동구와 광진구, 송파구, 서초구 등 핵심지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지난 14일 기준 전국 매매가격(0.04%→0.02%)의 상승폭은 1주 전보다 축소됐다. 수도권(0.11%→0.07%)도 상승폭이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대선 직후인 지난달 9일 상승 전환된 후 6주 연속 상승세다. 상승폭은 6월30일 0.07%까지 오르다 7월7일 0.04%→ 7월14일 0.02%로 2주째 감소했다.
서울(0.29%→0.19%)의 경우 집값 상승률이 1주 새 0.1%포인트(p) 떨어졌다. 6월 이후 변동률 추이를 보면 6월2일 0.19%→6월9일 0.26%→6월16일 0.36%→6월23일 0.43%로 치솟았으나 6·27 고강도 대출규제 이후 6월30일 0.4%→7월7일 0.29%→7월14일 0.19%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상승률이 3주 새 0.24p 하락하며 대선 직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특히 강남 11개구(0.34%→ 0.22%)의 상승률은 강북 14개구(0.22%→0.16%)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0.36%)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서초구(0.32%)는 잠원·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29%)는 목·신정동 위주로, 영등포구(0.26%)는 신길·여의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구는 0.15%로 평균보다 낮은 상승률에 그쳤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45%)는 금호·옥수동 위주로, 광진구(0.44%)는 광장·구의동 주요단지 위주로 오르며 강남보다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용산구(0.26%)는 서빙고·이촌동 역세권 위주로, 마포구(0.24%)는 공덕·염리동 위주로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일부 신축, 역세권 소재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심화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