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결정 '디데이'…양대노총 "역대 최저 인상? '노동존중' 약속 책임져야"

최저임금위, 10일 심의의결 예정…최대 4.1% 인상 최근 5개 정부 첫 해 인상률 중 '최저'…尹도 5.1%↑ "정부, 결정 묵인한다면 국민에 대한 명백한 배신"

2025-07-10     박두식 기자
▲ 모두를 위한 최저임금 운동본부가 지난달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2026년 적용 최저임금요구안 시급 1만1500원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노동계가 역대 정부 첫 해 최저 인상 수준의 최저임금 심의 의결을 앞두고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규탄하고 나섰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10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정권 반노동정책 답습하는 최저임금 공익위원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앞서 최저임금위원회(최임위) 공익위원들은 지난 8일 열린 제10차 전원회의에서 1만210원에서 1만440원까지의 심의촉진구간을 제시했다. 인상률 1.8%~4.1%로, 최근 5개 정부 첫 해 최저임금 중 가장 낮은 인상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공익위원들이 제시한 상한선인 1만440원으로 정해진다고 하더라도 인상률은 4.1%에 그치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 첫 해 인상률을 보면 ▲노무현 정부 10.3% ▲이명박 정부 6.1% ▲박근혜 정부 7.2% ▲문재인 정부 16.4% ▲윤석열 정부 5.0%였다.

양대노총은 "저임금 노동자들이 간절히 기다린 최저임금 인상 논의가 이토록 참담한 결과로 귀결되고 있는 현실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며 "최저 1.8%에서 최대 4.1% 인상률은 최근 몇 년간의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노동자의 실질임금 하락을 더욱 심화시키는 무책임한 결정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대노총이 비혼 단신 노동자의 현실적인 생계비로 제시한 월 264만원은 사치가 아닌 최소한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준"이라며 "공익위원들의 이번 제안에는 이러한 절박한 현실에 대한 일말의 고려도 찾아볼 수 없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이들은 "반노동 정책과의 단절을 염원하는 국민적 열망 속에서 출범한 새 정부에서 결정될 첫 최저임금은 노동자의 삶에 새로운 희망이 돼야 한다"며 "이번 4.1% 상한선은 윤석열 정부의 첫 해 인상률 5.0%보다도 낮은 역대급으로 인색한 수치이다. 새 정부가 천명한 '노동존중'의 약속이 무색할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익위원들은 기계적 중립 뒤에 숨어 책임 방기하지 말고, 정부는 노동존중 구호에 대한 책임을 지라"며 "노동존중을 약속하고 서민 생활 안정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정부가 이러한 결과를 묵인한다면 국민에 대한 명백한 배신"이라고 했다.

양대노총은 ▲심의촉진구간 철회 ▲실질 생계비 보장 수준 최저임금 인상 ▲노동존중 정책 로드맵 제시를 요구했다.

이들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최저임금 쟁취를 위한 우리의 요구에 이재명 정부는 응답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