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창조경제 패러다임 맞게 공대도 변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이제 창조경제 패러다임에 맞게 공과대학도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공과대학이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탈바꿈했으면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는 결국 사람에 달려 있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성공한 것은 주변에 위치한 우수한 공과대학이 큰 힘이 됐다는 걸 잘 알 것"이라며 "공과대학은 실리콘밸리의 창업과 벤처기업의 산실이고 공대생 한 명이 졸업하면 벤처기업 한 개가 탄생을 한다고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현재 대입 수험생 중에 이공계열 진학 희망자는 과거보다 적고 창조경제 핵심인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는 정원미달 사태를 빚고 있다"며 "공대 교육이 산업현장과 괴리된 이론연구 중심으로 진행이 되면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인재를 양성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국내 100대 기업 CEO 중 이공계 출신자가 20년 만에 상경·사회계를 앞질렀고 이공계 출신 채용도 지속 증가해서 이공계 프리미엄이란 신조어까지 나왔다고 하는데 정말 바람직한 변화"라며 "이런 때를 놓치지 말고 공과대학도 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공과대학과 산업 현장의 괴리를 불러온 원인으로 지적되는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논문 위주의 평가시스템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검토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등과 관련해서는 "창조경제 시대에 맞게 정부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재정립했으면 한다"며 "정부 출연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의 70% 이상이 활용되지 않고 쌓여만 있는 장롱특허이고 기술무역수지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금융권에 대해서도 "금융기관이 제대로 가치 평가하고 투자해야 창조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면서 "보증 위주의 대출 관행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하고 특허나 콘텐츠와 같은 지식재산을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에 적극 투자하는 선진 금융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이 기술신용평가 등의 결과에 따라 대출한 경우는 면책하거나 책임을 경감해주는 방안을 마련하고 투자한 기업의 부실이 발생하는 경우는 그 기업이 보유한 지식재산을 분리, 처분해 손실을 보전하는 다양한 금융거래시스템이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모두발언 후 토론에서 박 대통령은 공대혁신과 관련해 "옛날에 제가 테니스를 열심히 쳤는데 별로 기본연습도 안하고 게임을 잘하는 사람이 있지만 절대로 깊이 발전할 수가 없다"며 "공학도가 기초 소양이 있고 체계적인 전공 이수를 해야만 훌륭한 인재로 커나갈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대학과 기업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우리가 연애할 때 몸치장에, 선물도 맞춰서 사는 등 상대방에게 어필하려고 온갖 노력을 다하지 않냐"며 "대학은 현장 기업의 이야기를 듣고 기업은 왜 이런 인재가 안 길러지는지 이야기를 나누면 대학은 여러가지 어필할 수 있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 따로, 취업 후 실무 따로가 되지 않게 교수 채용과 평가, 교과과정, 연구 전반에 혁신이 필요하다"며 "우선 교수채용에서부터 산업계 현장 경험을 갖춘 분들이 교수가 되는데 제도적 장애가 없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공계 출신인 박 대통령은 "공대 여학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너무 남성 위주로 돼 있지는 않은지, 실험실습 장비가 부족하지 않은지 세밀하게 검토해 달라"는 주문도 내놨다.
사물인터넷과 관련해서는 "창조경제라고 해서 꼭 기술만 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업도 사실은 창조경제적 마인드를 갖고 거듭날 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어차피 창조경제를 기치로 내건 우리가 사물인터넷 쪽으로도 성공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업 등 기존 산업도 융합과 기술 등을 통해 거듭나는 분위기가 됐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사람이 일을 하려면 땅 위에 발을 튼튼하게 딛고 일해야지 공중에 붕 떠서 일할 수는 없지 않냐"며 "오늘 이야기 나온 부분은 리스트를 만들어서 확실하게 해결하면 혁신을 해나가는데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박상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등 자문위원 22명과 전문위원 13명을 포함해 관련부처 장·차관들과 금융권, 공대혁신위원 및 학생대표, 대학평가관계자 등 약 180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민관이 마련한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비롯해 '기술출자기업 활성화방안', '시장주도 개방형 가치평가체제 구축방안' 등이 보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