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단체 "李 정부, 국정과제에 방송 비정규직·공무원 대책 포함해야"

오요안나 유가족·공무원노조, 국정기획위 앞서 잇따라 회견

2025-07-01     박두식 기자
▲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앞에서 열린 MBC 오요안나 기상캐스터 유가족 요구안 선포 기자회견에서 미디어비정규직노동단체 엔딩크레딧과 오요안나 어머니인 장연미씨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노동·시민단체들이 이재명 정부의 5년 국정운영 청사진을 설계할 국정기획위원회를 향해 방송 비정규직 처우 개선과 공무원 기본권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는 방송 비정규직과 공무원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이 잇달아 열렸다.

직장갑질119와 시민단체 엔딩크레딧, 유가족 등은 故 오요안나 MBC 기상캐스터 사망 사건과 관련해 "방송 미디어 현장의 비정상적·불법적인 고용형태를 시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에 7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정부를 향해 ▲이재명 대통령의 방송 고용형태 개선 지시 ▲고용노동부의 방송사 기획 근로감독 실시 ▲방송통신위의 재허가 심사 기준 재정비 ▲결방 프로그램에 대한 임금 미지급 관행 철폐 ▲근로자성 판단 기준 정비 ▲MBC 근로감독 결과 내사 보고서 공개 ▲방송문화진흥회, MBC 진상조사 결과 공개 등을 촉구했다.

이어 전국공무원노동조합도 국정기획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원 정치·노동기본권 보장과 인력·예산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들은 ▲정치기본권·노동기본권 보장 ▲공무원 정원 및 임금 확대 ▲공무원연금 노후소득공백 해소 ▲주 4일제 도입 등 노동조건 개선을 핵심과제로 내놓았다.

공무원노조는 "낮은 보수와 악성 민원으로 공직사회는 청년공무원들이 떠나는 직장이 됐고, 공무원 선호도와 직업 만족도는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는 공무원을 국정 동반자로서 인정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