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피해자들 "김병주 MBK회장 책임 안져…구속 수사해야"

홈플러스 새 주인 찾기 본격화…법원, 인가 전 매각 허가 "사기성 회생·기만적 매각…김병주 구속 수사하라"

2025-06-23     박두식 기자
▲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해결 공동대책위와 홈플러스 물류·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의 구속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뉴시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가운데 대주주 MBK가 지분을 포기하고 매각 절차에 들어가자, 피해자들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책임을 요구하며 구속 수사를 촉구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와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23일 오전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기성 회생 신청과 투자자 기만에 대한 검찰 수사가 110일째 지지부진하다"며 김 회장의 즉각 구속을 촉구했다.

안수용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김병주 회장은 신용등급 하락을 알면서도 820억원 규모 단기채를 발행해 투자자들을 기만했고 불과 나흘 만에 회생 신청을 기습 단행했다"며 "회생 절차는 사실상 사기로, 검찰은 즉각 김 회장을 소환해 구속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협의회 회장은 "MBK는 이미 2년 전부터 법무법인을 통해 출구 전략을 준비해왔다"며 "청산 가치가 높다는 결과가 나오자마자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 건 사전 계획된 매각 시나리오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판매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은 배임·횡령 정황도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 관계자는 "노후 자금, 치료비, 결혼자금 등 실수요자들이 투자한 채권이 아무 보상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원이 인가 전 M&A를 허가했다고 해서 범죄 혐의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용건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김병주의 역외탈세 의혹을 5년 전 고발했지만 당시에도 검찰은 수사를 외면했다"며 "이번 사태의 책임 역시 외면한다면 결국 모든 피해는 국민 몫이 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소액 투자자, 납품업체, 입점 점주, 노동자 모두가 하루하루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며 "검찰은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김병주 회장을 즉각 소환해 불법적 회생 신청, 금융 사기, 자금 유출 혐의를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20일 홈플러스 측이 신청한 인가 전 M&A를 허가했다. 홈플러스 측이 법원에 제출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의 조사보고서상 약 3조6816억원인 회사의 청산가치가 약 2조5059억원인 계속기업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주사인 MBK는 보유하고 있는 2조5000억원 상당의 보통주를 모두 무상소각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