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공무원 사칭해 노쇼사기, 피해 속출…"수사 의뢰"

물품 주문·식당 예약 후 노쇼…선금 요구도

2025-06-19     박두식 기자
▲ 노쇼 사기 범죄에 쓰인 창원시청 사칭 공문. (사진=창원시청 제공).

경남 창원시는 최근 공무원을 사칭한 '노쇼'(No-Show) 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19일 밝혔다.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 17일 한 페인트업체 측에 진해구 행정과 주무관을 사칭한 사기범이 "감사품목으로 심장 제세동기가 급히 필요하다"며 접근해 "서울의 한 업체에서 심장 제세동기 구입 대금을 먼저 대신 지급해달라"고 요구했다.

사기범은 '향후 마진을 보장하겠다'며 계좌 송금을 계속 유도했고 페인트 업체는 사기범이 알려준 업체에 5000만원을 송금했다.

하지만 해당 업체는 명의가 도용된 업체였으며 실제 업체 명의의 계좌도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또 같은 날에는 마산합포구 행정과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이 커텐 주문을 명목으로 35만원 상당의 물품을 65만원으로 견적을 내달라고 요구했다.

사기범은 물품 차액에 대한 이익 보장을 조건으로 제세동기 업체 게좌에 입금을 해달라고 했으나 미수에 그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5일과 16일에는 시청 자치행정과와 노인장애인과를 사칭하며 시청사 화장실 방수 공사 등 부서 업무와 관련된 계약을 빙자해 물품을 주문하거나 '청사에서 만나자'며 결재문을 첨부해 속이기도 했다.

그러나 문서에 사용된 결재자 직위는 물론 전화번호, 직인, 부서 등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성산구 성주동, 마산합포구 반월중앙동 등)를 사칭해 회식 및 접대 자리 예약을 핑계로 음식점에 선주문(주로 횟집 대상)을 하거나 명함을 제시하며 공공기관인 것처럼 속여 주문을 한 후 연락이 두절되는 사건이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시 관계자는 "최근 시 공무원을 사칭한 피싱 사기 사건이 잇달아 발생해 관할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며 "단순 물품 주문 후 노쇼 사기 사건을 비롯해 물품 주문 후 선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