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하자마자 투표하러 왔어요"…사전투표 장사진

"내란 종식" "경제 회복" 가장 많이 답해

2025-05-29     박두식 기자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 날인 29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아트홀에 설치된 사전투표소를 찾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기위해 줄 서 있다. /뉴시스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투표소는 오전 내내 유권자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강남구 역삼1동 주민센터 사전투표소에는 시민 100여명이 줄 서 있었다. 대부분 청장년층 직장인인 이들은 '내란 종식' '경제 회복' 등을 판단 근거로 꼽았다.

직장인 여성 이모(24)씨는 "20대가 사전투표에 얼마나 참여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왔다"며 "이번 대선은 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정상적으로 치러진 게 아닌 조기 대선이니 내란 종식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그 다음으로는 남녀 갈등, 장애인과 비장애인갈등, 노인 세대와 청년 갈등 등 갈라치기를 화합해 줬으면 좋겠다"고 소신을 밝혔다.

IT 업계에서 일한다는 김우열(41)씨는 "이번 선거에서 가장 중시한 건 내란 종식"이라며 "차기 대통령은 경제를 살려줬으면 좋겠다. 사람들이 돈이 없으니까 IT 업계에 투자가 없고, 우리 회사도 계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용강동 주민센터에서 만난 대학생 오준민(23)씨도 "계엄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후보자 선택에 가장 중요했다"며 "새로운 대통령은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다. 아무래도 먹고 사는게 중요하니 경제를 일단 먼저 생각하는 대통령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부동산중개업을 하는 허모(60)씨는 "부동산업을 하는데 요즘 경기가 어려운 게 체감된다. 부동산은 정책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부동산 경기가 죽으면 시장 경제가 죽는다"며 "경제를 살리는 대통령을 원한다"고 힘줘 말했다.

직장인 유모(55)씨는 "정직성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투표했다"며 "차기 대통령이 대출 규제도 좀 풀어주고 경제를 살리면 좋겠다"고 했다.

차기 대통령이 극단화로 치닫는 사회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마포구 주민 이지민(41)씨는 "이번에 탄핵된 대통령은 내거티브에 치중한 전략을 펼친 사람"이라며 "이번에는 갈라치기나 편가르기하지 않는 대통령이 돼서 혐오가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대학생 이택우(26)씨도 "도덕적이고 나라에 도움이 될 것 같은 사람을 뽑겠다"며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도 포용해 국민 통합이 되길 원한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첫 대선 투표를 경험하는 유권자들도 눈에 띄었다.

싱가포르 유학 중 귀국한 첫날 마포구 투표소를 찾았다는 자매는 "외국에서도 유튜브로 공약이나 대통령 연설을 찾아봤다. 다른 나라 친구들이 계엄 상황을 물어봤는데, 한국에 놀러오는 걸 취소한 친구들도 많다"며 "이번 대통령은 임기를 채우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서울 종로구 종로1~4가동 주민센터에서 만난 김종수(70)씨는 "정상적인 나라를 위해 투표했다"며 "서민들을 위해 차별 없이 (정치를) 잘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개인사업자 남모(32)씨는 "지난 19대, 20대 대선은 재외국민으로 외국에서 투표했다"며 "압도적인 결과를 바라는 마음으로 투표하러 왔다. 합법적인 선 안에서 국익을 생각하고, 본분을 잊지 않는 대통령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선 사전투표는 29∼30일 이틀 동안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68개 사전투표소에서 실시된다. 만 18살 이상 유권자는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운전면허증, 청소년증, 학생증 등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투표를 할 수 있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 전국 평균 투표율은 8.7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