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파업 D-1' 막판 교섭···입장차 커 극적 타결 난망
27일 파업 전 교섭···비공개 놓고 신경전 통상임금, 임금체계 개편 놓고 간극 커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27일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는다. 협상 과정에서 누적된 상호 불신이 깊어 파업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이날 오후 1시께부터 서울시 모처에서 임금 협상 교섭을 갖는다. 다만, 노사 간 입장 차가 커서 파업 전 막판 타결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통상임금에 관한 기존 판례를 변경한 데 따라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온전히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 그리고 현행 만 63세인 정년의 65세 연장, 하계 유급휴가 신설, 운전직 호봉 상한 상향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정기 상여금을 기본급에 포함하는 등 임금 체계 개편이 우선이라고 주장한다. 임금 체계 개편에 따른 임금 상승을 반영한 뒤 기본급 인상 여부를 협의하는 게 순서라는 게 사측 입장이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서울시 역시 버스 기사 인건비 부담이 시 재정에 부담을 준다며 임금 체계 개편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날 교섭 장소 공개 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벌일 정도로 상호 불신이 깊은 상태다. 노조는 '사측이 노조원 집결을 피하기 위해 교섭 장소를 비공개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사측은 '노조 요구를 반영했는데 뒤늦게 다른 이야기를 한다'고 불쾌감을 표하고 있다.
이날까지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노조는 예정대로 28일 첫차부터 총파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도 임금 협상이 결렬되며 2012년 이후 12년 만에 파업한 바 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다른 지자체에서도 버스가 동시 파업을 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22개 지역별 산하 버스노조의 임단협 협상 결렬 시 28일 동시 총파업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시내버스 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예상되자 서울시는 최소 3일 이상 파업에 대비하겠다는 대비책을 세웠다.
지하철은 하루 총 173회를 증회 운행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 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를 오전 2시까지 연장한다.
서울 25개 각 자치구는 주요 거점과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아울러 시는 차고지별로 공무원을 파견해 노조가 위법한 방법으로 조업을 방해할 경우 경찰에 신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