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단체 “주4일제, 퇴근 후 ‘연결되지 않을 권리’ 도입해야”

“EU 평균보다 장시간 근로 2배 많아…노동시간 줄여야”

2025-04-29     박두식 기자
▲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주4일제 네트워크 소속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주4일제 도입 및 노동시간 단축 촉구 21대 대선 정책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대선 후보들에게 주4일제 도입과 노동시간 단축을 공약으로 도입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와 청년유니온, 일하는시민연구소·유니온센터 등 노동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주4일제 네트워크’는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일과 삶 균형과 노동자 삶을 되찾기 위한 주4일제 도입 ▲장시간 노동 해소와 모든 노동자의 쉴 권리 보장 ▲국제적 기준의 연차휴가 확대 및 가족돌봄휴가 유급화 추진 ▲퇴근 후·휴일·휴가 동안 ‘연결되지 않을 권리’ 도입 등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연간 1742시간보다 많은 연간 1872시간을 일하는 장시간 노동 국가”라며 “국제노동기구(ILO)와 유럽연합(EU)의 장시간 노동 기준인 48시간 이상 근로 비중이 17%에 달한다. EU 평균인 7.3%에 비해 두 배 이상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ILO에 따르면 장시간 노동은 노동자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가족 및 사회생활을 교란시키고 작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동자와 기업 모두에 중대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이슬란드, 스페인, 프랑스, 영국, 미국 등에서 진행된 주4일제는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이 확인되고 있다”며 “이제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라도 노동시간 단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디지털·플랫폼과 인공지능(AI) 도입 등 산업구조와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면 사회적으로 달성해야 할 기준의 노동시간 체제도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4일제 시행, 장시간 노동해소, 연차휴가 확대, 가족돌봄휴가 유급화,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돌봄과 성평등 그리고 지역 공동체 활성화의 촉매가 될 수 있다”며 “주4일제 도입과 노동시간 단축 정책 도입을 촉구한다”고 했다.

현재 주4일제 네트워크는 주4일제 도입을 위한 국민청원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