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한덕수는 내란방조자…더 강화한 ‘내란특검법’ 재발의”
박찬대 “내란동조 세력 목불인견…특검 통해 진실 규명” 김민석, 총리 공관 앞 규탄 회견…“한덕수 출마용 협상 안 돼”
더불어민주당은 23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겨냥해 “내란 방조자임에도 차기 대선의 입맛을 다시고 있다”며 더욱 강화된 내란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했다.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 동조 세력들의 내란 은폐 연장 시도가 목불인견”이라며 “더욱 강화된 내란 특검법을 재발의하겠다”고 했다.
그는 “한덕수 총리는 내란 방조자임에도 권한대행이란 존재 이유를 망각하고 차기 대선의 입맛을 다시고 있다”며 “더욱이 법무부,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 곳곳에서는 내란 동조 세력의 잔존을 위한 알박기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힘을 향해 “내란동조 정당으로 대국민 사과는커녕 윤석열과의 결별도 내란 특검도 외면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위해서 역사에 길이 남을 이 사건의 진실은 특검을 통해서만 밝힐 수 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의 대선 출마를 촉구하는 ‘대통령 후보 국민 추대위원회’가 출범한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대통령 국민 추대위원회라는 조직이 출범해 한 대행을 후보로 추대해야 한다고 했다”며 “한 대행은 왜 구차하게 추대 형식으로 명분 쌓기용 빌드업을 하는가. 간을 보다가 국민의힘 후보가 결정되면 대대적으로 출마하겠다는 포석을 까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누릴 것은 다 누리고 공직 사퇴 기한을 꽉 채운 시점에 마치 국운의 결단을 한 듯 대통령 후보로 변신을 해 스포트라이트를 받겠다는 심보”라며 “그 지나친 노역에 감탄이 나온다”고 말했다.
김민석 수석 최고위원은 “한덕수 단일화론의 거품이 빠지고 있다. 볼품 없는 추대위의 조잡함이 드러나고, 국민의힘 경선 결과 최종 후보의 단일화 거부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노욕의 용꿈을 꾸던 고위공직자 출신들의 전례처럼, 중도하차하고 최종출마도 못하는 허망하고 웃픈 종말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한미 재무·통상 장관 ‘2+2 통상 협의’를 앞둔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협상의 결론을 차기 정부에 넘겨야 한다는 주장도 재차 제기됐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대행 정부는 임시직이어서 미국과 세계 각국의 협상 과정을 지켜보며 차기 정부를 위한 협상준비에 집중하는 것이 본분”이라며 “한 대행의 졸속협상 강행 의도는 국가 미래를 볼모삼아 미국을 이용한 사전 선거 운동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으로 출국한 최상목·안덕근은 사실상 ‘한덕수 대선출마지원 사절단’”이라며 “‘한덕수 대선스펙쌓기 졸속협상’은 사리사욕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의 매국과 다를 바 없다. 국운이 걸린 통상협상을 사리사욕을 위해 졸속퍼주기로 강행한다면, 한덕수·최상목·안덕근 세 사람은 나라경제를 팔아먹은 을사삼적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전 최고위원은 “항간에는 총리실에 사모님 리스크를 방어하는 사모대응팀까지 꾸려졌다는 얘기까지 들린다. 사실이면 공적조직인 총리실을 ‘한덕수 대선캠프’로 전락시킨 명백한 직권남용 범죄”라며 “한 대행이 쌓은 탄핵 마일리지는 이미 한도초과”라고 했다.
한편 김 최고위원 등도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 앞에서 ‘한덕수 출마용 졸속 관세 협상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관세 협상팀이 미국에 도착했다”며 “최상목·안덕근 장관 모두 (협상) 타결은 새 정부가 해야 한다고 한 본인들의 약속과 국회의 요구대로 신중한 협의로 국익을 지키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한 대행은 본인의 출마를 위한 정치적 의도로 무리한 졸속협상 진행과 타결을 압박하여 협상팀을 흔들지 말기 바란다”며 “출마를 꿈꾼다면 오늘 당장 물러나는 것이 국가와 국민을 위한 최소한의 도리다. 국익 앞에 사익과 노욕을 내려놓으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