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安, 커지는 '무공천 재검토' 논란에 속앓이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문제를 놓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무공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가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3일 새정치연합에 따르면 당내 강경파는 기초선거 공천 여부를 전당원 투표를 통해 결정하거나 무공천시 정당을 해산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며 당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이날 온라인 팟캐스트 '정봉주의 전국구'에 출연해 "무공천을 하려면 차라리 정당을 해산하는 것이 맞다"며 무공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신 최고위원은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에 입장을 바꾸라는 결단을 요구해야 되는 것이 아니냐'라는 지적에 대해 "그런 과정이 조만간 있긴 있을 것이다.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마지막 시한을 4월 중순으로 보고 있다. 어쩔 수 없다면 당내 토론과 대안에 관한 공론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최고위원은 또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공천에 대해 한 번도 찬성한 적 없다"며 '무공천 반대' 입장을 거듭 강조햇다.
그는 "무공천에 대한 전당원투표는 제도로서 무공천에 대해 물었던 것이고, (여당과) 함께 무공천할 경우를 상정한 것이지 홀로 무공천을 상정한 건 아니다"라면서 "무공천 약속은 여당이 깨고 청와대가 침묵함으로서 이미 깨진 거다. 지킬 수도 없고 지킬 필요도 없어진 약속이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상호 의원은 전당원투표로 다시 당론을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기초공천제도의 폐지가 여야합의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새정치민주연합의 대응에 대한 당내 이견이 존재한다"며 "이에 대해서는 전당원투표로 다시 의견을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지도부의 속내는 복잡하기만 하다.
대화와 타협, 절충을 통해 새정치를 이뤄내겠다는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강경파의 노선투쟁으로 시작부터 정치적 목표가 삐거덕 거리고 있다는 점에서 난감해 하고 있다.
김·안 공동대표는 신 최고위원의 정당해산 발언에 대해 말을 아꼈다. 또 김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농성중인 의원 일부와 만나 무공천 논란에 대해 지도부를 압박하는 모양새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는 후문이다.
지도부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겨냥해 기초공천 폐지 실천에 나설 것을 촉구하면서 무공천에 따른 후보 지원방안 등도 고민하고 있다.
무공천 재검토 보다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후보들에게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고위정책회의를 열고 "박 대통령이 침묵을 고집하는 것은 야당 무시를 넘어서 국민을 농락하는 일"이라며 "박 대통령이 자신의 입으로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밝힐 것을 다시한번 요구한다"고 말했다.
박광온 대변인도 한 라디오에 출연해 "새정치민주연합 내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적인 선거의 규칙이 무너질 위기다. 대통령이 모른 척 하신다면 나중에 큰 문제로 돌아올 수도 있다"며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선거의 규칙이 무너지는 것이다.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 이 위기를 풀 수 있는 건 오로지 국민에게 약속을 한 대통령 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