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사회서비스원, 경기도 심리지원 활성화 전략 포럼 개최
"베이비부머 마음 돌봄, 어떻게 할 것인가"
경기도사회서비스원 노인종합상담센터는 2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경기도 심리지원 활성화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경기도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전화상담 지원 사업 심리상담 성과분석 연구'를 통해 지난 3년간의 사업 효과성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심리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과 토론이 이어졌다.
포럼에는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고은정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고양10), 경기도 공정식 사회혁신경제국장,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안혜영 원장, 도내 베이비부머 관련 기관 행복캠퍼스 관계자, 시군 노인상담센터 상담사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전화상담 지원사업이 진행될수록 일부 지역에 편중되었던 이용률이 31개 시군으로 고르게 증가하고 있고, 사전 검사에서 자살 사고가 전혀 없는 내담자의 비율이 2022년 56.3%에서 2023년 37.3%. 2024년 33.3%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내담자는 상담을 통하여 우울, 자살 사고, 불안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수준의 개선을 이루었고, 특히 고도 수준의 우울군과 불안군이 절반 이상 감소하고, 정상군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보아 이용자들의 정신건강에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토론회에서는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찬호 교수의 ‘베이비부머 심리·정서적 지원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우석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고은영 교수의 ‘경기도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전화상담 지원사업 심리상담 성과분석 연구 결과보고’ 중심으로 발제하였으며, 경기연구원 유정균 인구영향평가센터장, 안산온마음센터 홍주연 수퍼바이저,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 김향자 센터장 등이 토론자로 나서 “베이비부머 심리 정서적 지원 활성화 구축 방안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협력”을 강조했다.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고은정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중장년층이 겪는 심리적 문제는 개인의 삶에 그치지 않고, 가정과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성과 직결되는 만큼, 예방 중심의 장기적 심리지원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라며 “경험과 역량을 지닌 적극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경기도의회에서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김재균 의원(더민주,평택2)도 “오늘 논의된 베이비부머 심리 정서적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안혜영 원장은 “베이비부머 세대는 은퇴에 대한 불안감뿐만 아니라 높은 부양 비율, 증가하는 의료 비용, 노후 준비 부족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중장년의 위기’라고 불릴 만큼 심각한 현실이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경기도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전화상담 지원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각계 전문가의 경험과 의견이 모아져 향후 보다 발전적인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경기도, 경기도의회와 함께 베이비부머 세대가 더욱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 ‘베이비부머 마음돌봄 전화상담’은 도내 40세 이상~65세 미만의 베이비부머라면 누구나 주 1회(연간 최대 16회) 무료로 전화 심리상담을 이용할 수 있다. 상담 신청은 대표전화(031-269-5064)로 신청할 수 있으며,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화상담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