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석방 이후 정중동 행보하는 與 잠룡들…헌재 선고 앞두고 ‘신중’
여권 잠룡들이 윤석열 대통령 석방 이후 차분한 정중동 행보를 하고 있다. 비공식적으로 조기 대선을 준비하는 행보를 보였던 이들도 윤 대통령 석방 이후에는 자제하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조기 대선 행보로 비치는 활동을 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16일 취재를 종합하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나오기 전까지 차분하게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오 시장은 최근까지 ‘지방분권형 개헌론’을 내세우면서 자주 국회를 찾았다. 관련 토론회에는 여당 의원들이 대거 참석하면서 호응했고, 자연스럽게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로 비춰졌다. 나아가 오는 24일 출간될 자신의 저서 ‘다시 성장이다’는 사실상 대선 출사표라는 해석이 따라붙기도 했다. 오 시장도 이러한 해석을 부정하지는 않았다.
오 시장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책 출간 이후 어떤 방식으로 소통할지는 조심스러워서 결정된 게 없다”며 “정해진 시정 활동을 소화하는 것에 큰 기조 변화는 없지만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당초 예정했던 북콘서트 일정을 보류하고 시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 전 대표는 지난 5일과 10일 각각 서울과 부산에서 북콘서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후 대구와 충청 등 지역에서 행사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으나 윤 대통령 석방 이후 속도 조절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 전 대표 측은 애초에 확정된 일정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정해진 것이 있어야 취소라고 얘기할 텐데 정한 것이 없다”며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일정과는 관계없이 책을 낸 것이고, 그 내용에 대해 북콘서트를 한 것”이라고 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경우 애초에 조기 대선과 관련된 메시지에는 선을 그어왔다.
김 장관은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재판이 정상적으로 되면 기각이 될 것으로 본다”며 “보궐선거는 대통령이 궐위돼야 하는데, 안 되길 바라고 안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를 가정한 답변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탄핵 기각’을 주장하면서도 여권 잠룡들 가운데 가장 먼저 대권 도전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또한 ‘꿈은 이루어진다’, ‘제7공화국 선진대국시대를 연다’라는 제목의 책 출간을 예고하기도 했다. 홍 시장은 지난 14일 기자들과 만나 “탄핵 기각이 되더라도 윤 대통령이 이미 임기 단축을 천명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