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탄핵, 줄기각…이재명 책임감 느껴야”
무리한 탄핵 소추에 민주당 태도 표명해야 “민주당, 웬만하면 사과하지 않고 뭉개는 것이 문화처럼 돼”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더불어민주당의 이른바 ‘줄탄핵, 줄기각’에 관해 당과 이재명 대표가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지적했다.
14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에 출연한 이 고문은 “3년이 안 되는 시간 동안 민주당이 29번의 탄핵 시도를 해 13번 소추되고 8명이 기각됐다. 이제까지 기각 안 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고 했다.
이 고문은 “이는 횟수로도 많았다는 뜻이지만 내용 자체에서도 무리한 탄핵 소추가 있었다는 걸 인정한 것”이라며 “그런 점에 대해 (민주당이) 뭔가 태도를 표명하는 것이 맞다. 그런데 민주당은 웬만하면 사과하지 않고 뭉개는 게 문화처럼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계실 땐 그러지 않았다. 그때 민주당과 많이 다르다”며 “사람, 리더십의 변화가 제일 크다”고 했다.
이에 진행자가 “지금 민주당이 이재명의 민주당이기 때문에 그런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해도 되는가”라고 묻자, 이 고문은 “그렇다”고 답했다.
진행자는 이 대표가 앞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박용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비명계(비이재명계) 인사들을 만난 것을 언급하며 “가장 중요한 만남은 이 대표와 이 고문의 만남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이 대표로부터) 연락 없었나?”라고 물었고, 이 고문은 “없었다. 만나고 악수하고 사진 찍고 밥 먹고 그런다고 통합이 아니라는 것은 만나본 사람은 알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실제로 만남이 있기 전과 후가 뭐가 달라졌나. 달라진 게 없을 것”이라며 “연락이 온다고 가정해도 지금 국면에서 (이 대표를) 만난다고 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어 보인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 고문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것을 두고 “사회적 비용, 부담이 너무 커진다. 종로, 광화문, 헌법재판소 부근에서 일상적인 상황이 아니고 가게를 하거나 하는 분들은 굉장히 힘드실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 고문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서) 어떤 결과가 나와도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이에 승복하겠다고 지지자들을 설득해 달라. 그렇지 않으면 지금처럼 위기가 심화할 것”이라며 “두 분과 각 정당이 장외에서 단식하고 머리 깎고 할 일이 아니라 좀 더 차분하게 대응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