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기초공천 폐지 대응방안 의견분분

2014-03-31     박세희 기자

31일 국회에서 열린 새정치민주연합 첫 의원총회에서는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와 지방선거 무공천 방침을 두고 갖가지 의견이 제시됐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비공개 의총에서는 8명의 의원들이 발언에 나섰는데 박근혜 대통령에게 기초공천 폐지 약속 이행을 강력히 촉구하는 데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발언이 다수를 이뤘다. 하지만 무공천과 관련한 전당원 투표를 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설훈 의원은 "첫째, 뭉치는 것이 중요하고 둘째, 그 힘을 바탕으로 철저히 박근혜 대통령과 싸워야 한다. 그럼 어떻게 싸울 것인가.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단식투쟁을 했던 것처럼 지도부가 직접 사즉생의 각오로 나서야 한다"고 지도부의 강경한 대응을 촉구했다.

안민석 의원은 "내부 이견을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 박 대통령의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데 온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제안한 회담과 연동해서 요구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말했다.

노영민 의원은 "입법을 통한 정당공천제 폐지에 실패했다. 무공천은 이 문제와 연관은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지는 않다"며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창일 의원은 "100만인 서명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자"고 강조했다.


원혜영 의원은 "오늘부터 대통령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광화문 1인시위를 시작한다"면서 "기초공천 문제에 대해 정부여당이 '무대응'할 경우 기초선거 보이콧까지 포함해 모든 수단과 대응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와 달리 정청래 의원은 "어떤 약속을 했는지가 중요하다. 대선 당시의 약속은 무공천이 아니라 기초공천제도 폐지를 약속한 것이다. 그러므로 무공천이라는 새로운 국면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출범했으므로 전당원 투표를 통해서 당론을 결정하는 것이 어떤가"라며 전당원 투표를 제안했다.

김현미 의원도 '새로운 당론 확정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