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동 삼표레미콘 부지에 77층 랜드마크 …내년 착공 목표

2025-02-19     류효나 기자
▲ 삼표레미콘 부지. /뉴시스

서울숲과 한강에 둘러싸여 있는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 사업 관련 사전 협상이 완료됐다.

서울시는 ‘삼표레미콘 부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절차를 완료하고 민간 측에 협상 완료를 공식 통보했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부지에서는 1977년부터 약 45년 간 레미콘 공장이 운영됐다. 2017년 서울시-성동구-삼표산업-현대제철 간 업무 협약을 통해 기존 시설 철거가 합의됐다. 

철거가 완료된 2022년 8월부터 현재까지 성동구가 문화공연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이번 사전 협상 결과에 따라 삼표레미콘 부지에는 연면적 44만7913㎡ 규모 업무 시설, 숙박 시설, 문화·집회 시설, 판매 시설 등을 포함한 지상 77층 규모 복합 시설이 들어선다.

시는 이곳에 서울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대표 건물(랜드마크)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시는 2023년 국제현상설계공모로 부르즈 할리파(두바이)와 63빌딩 등 국내외 유명 건축물을 설계한 ‘스키드모어, 오잉스 앤드 메일(S.O.M)’사를 설계사로 선정했다.

서울숲과 삼표레미콘 부지 간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입체보행공원(덮개공원)’과 지하 보행 통로를 신설한다. 주요 연결 지점에 공개 공지와 공유 공간을 조성한다.

건축물 저층에 조성되는 녹지 공간과 최상층 전망대를 시민에 개방한다. 한강과 서울숲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로 탄생시킨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이번 사전 협상을 통해 확보한 6054억원 규모 공공기여는 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 정체 완화를 위한 기반 시설 확충과 ‘유니콘 창업허브’ 등 시설 조성에 투입된다.

확보액 중 약 4424억원 상당(73.1%)은 동부간선도로~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램프 신설 등 인접 지역 기반 시설 확충에 활용된다.

연면적 5만3000㎡ 규모 유니콘 창업허브는 유망 새싹기업(스타트업)의 고속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 창업 시설로 조성된다.

공공 시설 설치 제공 외 공공 기여 부분인 약 1629억원은 설치 비용(현금)으로 받아 서울숲 일대 재정비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사전 협상 결과는 향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법정 절차를 거쳐 보다 구체화될 예정이다. 시는 건축위원회 심의, 인·허가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