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일제 도입, 폐업·도산 많아질 것…52시간 예외는 반도체만"
김문수, 국회 대정부질문 출석…노동현안·극우 논란 등 답변 "정년연장, 청년이 피해…일률적 연장은 문제 있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이 제시한 '주4일제' 도입에 대해 "일괄 적용하면 문 닫아야 되는 데도 상당히 많을 수 있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소수지만 주4일제를 이미 하는 데도 있는데, 일률적으로 다 한다고 할 때는 많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현재와 같은 경제가 곤궁한 시기에는 많은 폐업 도산을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반도체업계에 주52시간 상한제 적용 예외를 두는 '반도체특별법'에 대해서는 "모든업종에 하자는 게 아니라 반도체 연구개발직(R&D)에 한해서, 연봉 1억이 넘는 근로자에 대해서 건강권을 보호하는 범위 내에서 자율성을 주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주 단위 근로시간은 무조건 52시간인데, 기본적으로 반도체는 속도 전쟁"이라며 "속도가 늦으면 쓸모가 없게 되는데 현실을 직시하는 합의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임 의원이 '제조업이나 이런 데는 절대 안 된다'고 하자 "넓히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또 정년연장과 관련해서는 "정년에 근접한 분들은 절박하지만 젊은이들이 가고 싶어하는 공무원, 공기업, 대기업 정규직은 정년을 연장하는 만큼 신규채용을 적게 해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본다"며 "청년을 우선적으로 보호해주야 한다. 청년을 희생해서 정년을 일률적으로 연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2조원을 넘긴 사상 최대 규모의 임금체불에 대해서는 "가만히 집에 있는 사람한테도 25만원을 주자고 하는데 자기가 일한 걸 못 받는 걸 먼저 줘야 되지 않겠느냐"며 "일한 사람들이 일하고 돈을 못 받는 부분은 국가가 책임지고 먼저 돈을 지급하는 게 국가가 해야 될 일"이라고 말했다.